(사진 = 경주시 제공)
[경주=일요신문] 최창현 기자 = 경주시가 지역 상인과 민관협업으로 시민과 관광객이 도심에서 즐길 수 있는 ‘프리마켓 봉황장터’가 신 시장형 관광콘텐츠로 주목받고 있다.
교촌한옥마을과 대릉원에서 황리단길을 거쳐 도심 상권을 잇는 봉황로 문화의 거리가 주말이면 어느새 사람들로 북적이기 시작했다.
직접 만든 수공예품과 악세사리, 중고상품에서 다양한 수제 먹거리와 감성충만 버스킹 공연, 실속있는 이벤트 등 이색적인 볼거리와 즐길거리가 시민과 관광객들의 발길을 사로잡기 시작한 것이다.
고도의 구 시가지로 각종 문화재 규제와 도심상권 공동화로 침체의 늪에 빠져들던 봉황로 문화의 거리가 프리마켓으로 도심경제에 새로운 활기를 불어넣는 문화콘텐츠로의 가능성을 보였다.
경주의 옛 모습과 현재의 감성이 공존하는 도심 속 핫한 문화콘덴트로 자리매김하고 있는 ‘프리마켓 봉황장터’의 시작과 현재, 미래의 모습을 들여다 본다.
# 프리마켓… 봉황장터의 출발
(사진 = 경주시 제공)
걷고 싶은 거리, 오래 머물고 싶은 거리로 진화하고 있는 봉황로 문화의 거리는 금관총과 봉황대를 비롯한 시가지 고분군과 봉황중심상가를 비롯한 시가지 상권이 근접해 관광객의 관심과 흥미를 끌 수 있는 무한한 가능성을 간직하고 있는 곳이다.
지난해 초까지만 해도 구 시청사 이전 영향과 각종 문화재 규제 및 개발 제약으로 인한 도심 공동화가 심화되고, 이에 더해 대규모 점포와 인터넷 쇼핑 등의 소비자의 구매패턴의 변화로 시민과 관광객이 찾지 않는 그야말로 한적하고 어두운 그저 그런 거리에 지나지 않았다.
하지만 전국을 강타한 황리단길이 핫한 명품거리로 등극하면서 새로운 국면을 맞이하게 됐다. 도심경제 활성화를 방안을 모색하던 경주시는 황리단길을 찾는 관광객을 도심 상권으로 유입시키려는 목표를 세웠다.
관 주도의 일시적 축제와 행사는 생명력에 한계가 분명해 봉황중심상가와 지역 프리마켓 셀러, 문화 콘텐츠 개발 전문가들과 간담회를 갖고 민관협력으로 지역 축제, 행사와 연계한 프리마켓 연합전을 봉황로에서 시범적으로 개최하기로 했다.
지난해 7월 천년야행과 봉황대뮤직스쿼어를 첫 타겠으로 삼았다. 경주시와 경주경찰서는 차량통제, 한시적 영업허가 등 외형적 투자보다는 행정적 절차 지원에 집중했다.
인근 월성초등학교에서는 관광객의 주차편의를 위하여 운동장을 선뜻 내줬으며, 봉황상가 상인들은 기꺼이 화장실 사용을 협조했다. 이렇게 시작한 프리마켓 봉황장터는 대성공이었다.
무엇보다 행사성 비용을 전혀 수반하지 않고 순수 행정적인 협조와 상인과 주민들의 협조로 이룬 자발적인 민관합작 프로젝트로 성공을 거둬 더욱 의미를 더했다.
성공가능성을 실감한 경주시와 상인들은 9월부터 이벤트성이 아닌 매주 토요일과 일요일 오후 1시부터 8시까지 정례적인 프리마켓 개최 여건을 마련하게 된다. 봉황대 뮤직스퀘어가 열리는 금요일 오후에도 추가 운영해 도심 속 야간관광 투어코스로도 각광을 받기 시작했다.
지난해 하반기부터 프리마켓 봉황장터는 50회 이상 열렸으며 프리마켓을 찾은 관광객들이 페이스북, 인스타그램 등 SNS를 통해 전국적인 입소문을 타면서 일일 방문객 최대 8000명, 일매출 100만원 이상의 수입을 거두는 셀러도 크게 늘어났다.
◇ 2018년 새로운 기회
(사진 = 경주시 제공)
올해를 시작하면서 겨울철 비수기를 맞은 프리마켓 봉황장터는 더 단단하게 내실을 다질 수 있는 새로운 기회를 맞는다.
1월부터 봉황장터의 주체인 셀러의 친절 및 위생교육에서 서비스와 마케팅 전략 등 역량강화 교육을 가졌다. 2월에는 순천 창작예술촌과 부산 깡통시장 등 도시재생과 상가 활성화에 대한 현장 벤치마킹을 통해 새로운 변화의 마인드와 소속감을 높이는데 주력했다.
본격적인 활동을 시작하기에 앞서 주변상가와 주민들을 직접 찾아가 상가활성화와 새로운 도심관광 콘텐츠 구축을 위해 봉황장터 운영에 지속적으로 찬성한다는 동의서를 200명 이상 확보하기도 했다.
벚꽃과 함께 시작된 봉황장터는 그동안 준비한 역량을 펼칠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됐으며 도심 속 핫 플레이스로 떠오르며 값진 성과를 이어갔다.
봉황장터가 성황을 이루면서 곱지 않은 시선도 생겨났다. 판매물품이 기존 상권을 침해하고 차량통제로 인한 불편, 버스킹으로 인한 소음, 타 지역 셀러에 대한 불편한 시선 등 다양한 지적이 나오기 시작했다. 봉황장터는 주변 상권과의 상생과 프리마켓 정체성을 위해 공산품 판매를 중지하고 지역 셀러를 우대하는 방침을 세워 민의를 따랐다.
시는 봉황로 거리 일대에 감성문구와 이미지를 나타내는 로고젝터를 설치하고 중심광장 바닥에 ‘읽어버린 세계, 신라’를 주제로 3D 페인팅을 작업하는 등 다양한 경관디자인을 적용하는 한편, 야외 영화콘서트를 비롯해 특화된 축제성 이벤트를 통해 관광콘텐츠로서의 잠재력을 한층 이끌어 냈다.
시 관계자는 “올 한해는 봉황장터의 해였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봉황장터의 가장 큰 성과는 기존 고객을 나눠가지는 것이 아니라 새로운 고객을 유치해가고 있다는 점”이라며 “봉황로 문화의 거리와 프리마켓 봉황장터가 도심상권을 이끄는 명소로 완전히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다양한 의견과 새로운 아이디어를 적극 수렴해 가겠다”고 말했다.
◇ 진화하는 프리마켓 봉황장터
(사진 = 경주시 제공)
변화와 진화는 각각 형태와 내용 등이 변한다는 의미를 갖고 있지만, 방향성이 가미되면 이야기가 사뭇 달라진다. 어디로 바뀔지 모를 때는 단순히 변한다고 하면 되지만, 긍정적, 미래지향적으로 발전한다면 우리는 진화한다고 말한다.
참여 셀러들은 자체 운영위원회를 통해 도자기데이, 강아지데이, 치맥 페스티벌, 푸드 트럭축제, 소꿉장터, 돗자리 영화제, 보물찾기 등 다양한 아이디어를 실행하고, 스스로 버스킹 공연과 길거리사진전 등 볼거리를 제공하는 노력을 통해 봉황장터의 내용을 더욱 풍성하게 만들어 가고 있다.
최소한의 행정지원과 민간협력을 통한 성공 우수사례는 자연스레 입소문이 퍼지면서 전국의 지자체와 마을공동체, 상인연합회 등에서 문의와 방문이 쇄도하고 있다.
지난 3월 경남 진해 장애인복지관 방문에서부터 청주시 도시재생지원센터, 성주군 전통시장 재생사업단 방문, 울진군 백암상인연합회와 영덕군일자리창출단, 경남 진해장애인복지관 마을공동체 협약기관, 창원시 지속가능발전협의회 등 다양한 기관단체에서 도시재생과 상권활성화 우수현장으로 벤치마킹을 다녀갔다.
봉황장터는 여기서 만족하지 않고 새로운 진화를 거듭하고 있다. 소속 셀러들의 개인의 번성이 곧 봉황장터의 성공이고, 지역 경제 활성화의 밀알이라는 자부심 아래 청년과 경력단절 여성의 창업을 적극 지원하고 있다. 현재까지 금속공예, 카페, 반려동물용품점, 화덕피자, 여성의류 및 악세사리, 문화콘텐츠 기념품, 분식 등 청년창업 7호점이 탄생했다.
봉황중심상가 민상기 회장과 이종철 봉황장터 운영위원장은 “봉황장터는 이제부터가 시작이라며, 우리의 후손들이 편안히 먹고살 수 있는 관광 상품, 관광 콘텐츠가 될 수 있도록 다양한 시도와 끊임없이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시 관계자는 “봉황장터는 민관이 합심해 무에서 유를 창출한 콘텐츠”라며 “도심상권 활성화는 물론 일자리와 창업 창출로 지역 경제를 활성화하는데 기여할 수 있도록 적극 협조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ilyo07@ily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