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러자 공단 측은 지난해 10월 서울지역 시행사 ‘디에스네트웍스’에 수의계약으로 549여억 원에 매각했다. 이달 말 잔금만 치르면 이전 절차를 완료하고 상록회관 일대 부지의 소유자가 공공기관에서 민간업체로 완전히 바뀐다. 이 업체는 이곳에 12개 동 1000여 가구 규모의 아파트 단지를 세울 계획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매각 중단을 요구하는 지역 환경단체와 정치권, 시민들의 반발 여론이 거세지고 있다. 하지만 공단은 계약대로 이전 절차를 진행하고 소유권을 넘긴다는 방침이다. 공단 경영 효율화 방침에 따라 서울을 제외한 공단 소유 지역 회관들을 모두 매각하고 있어 광주만 중단하기 어렵다는 입장이다.
이에 따라 광주시가 상록회관 부지를 다시 사들여 시민의 품으로 돌려줘야 한다는 의견도 있다. 광주시도 이런 의견에 공감하면서도 수백억대에 달하는 재원 마련의 어려움 때문에 매입에 엄두를 못 내고 있다. 그렇다고 현행법상 재산권을 제한할 권한이 없어 공단의 부지 매각을 막을 수도 없는 실정이다.
그렇다고 ‘희망’이 전혀 없는 것은 아니다. 상록회관 부지는 제1종 일반 주거지역과 준주거지역이 혼재해 있어 이 상태로는 5층 이상 아파트건설이 사실상 불가능해 용도변경이나 도시계획변경을 받아야 한다. 시가 지역사회 반발이 큰 상황에서 이를 쉽게 승인하기는 어려울 것이란 시각이 지배적이다. 광주시가 사실상 ‘칼자루’를 쥐고 있는 셈이다.
이와 관련, 새정치민주연합 박혜자 광주시당 위원장은 5월 6일 성명을 내고 “광주시는 고층 아파트 신축을 위한 어떤 용도변경이나 도시계획변경을 용인해서는 안 된다”고 압박하고 나섰다. 이에 시 관계자는 “부동산 매각에 행정기관이 개입하기는 어렵다”며 “지역사회에서 여러 의견이 있다는 것은 알고 있지만 도시계획변경이나 용도변경 등에 대해서는 신청이 들어 온 뒤 논의할 사항이다”고 밝혔다.
광주 도심에 마지막 남은 시민 휴식공간인 상록회관 매각을 둘러싸고 지역 각계각층의 반대 여론이 비등한 가운데 사익이냐, 공익이냐를 놓고 광주시의 고민이 커지고 있다.
정성환 기자 ilyo66@ily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