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시청 브리핑실 모습. 최근 이곳에는 <일요신문> 등 중앙언론사 6개 매체 기자를 비롯, 경남지방지 소속 기자 등 10여명이 상시 출입하고 있다.
[일요신문] 부산시청 기자실의 폐쇄적인 운영에 대한 비판이 고조되고 있다. 경남 발 아젠다로 시작된 이 사안에 대해 부산에 주재하는 중앙언론사 기자들이 함께 모여 목소리를 내면서 일파만파로 확산되는 모습이다.
논란의 발단은 지난 6월 30일로 거슬러 올라간다. 이날 경남도는 부산시에 상호주의에 입각, 경남 소재 언론사에 대해 취재편의를 제공해 줄 것을 요청하는 공문을 보냈다. 부산 소재 언론사인 <국제신문>과 <부산일보>가 경남도청 기자실에 출입하고 있으니, 경남 소재 언론사에게도 부산시청 기자실을 개방하라는 게 요지였다.
경남도의 이와 같은 움직임에 대해 경남 소재 언론사도 거들고 나섰다. 특히 <경남신문>은 연일 대서특필로 공세를 퍼부었다. 하지만 이에 대한 부산시의 입장은 완고했다. 부산시는 경남도로부터 공문을 접수한 지 한참이 지나고 있지만 회신조차 보내질 않고 있다. 이렇게 부산시가 버티기에 나서면서 이에 대한 관심도 조금씩 옅어졌다.
이 논란은 이렇게 불씨를 머금은 채 사그라질 것처럼 보였다. 하지만 서울 발 북풍이 불씨를 깨워 다시 들불로 확산시켰다. 폐쇄적인 기자실 운영에 대한 논란이 불거지자 그 동안 불평등한 대우에도 참아왔던 부산 주재 중앙언론사 기자들이 들고 일어난 것이다.
본보 <일요신문>을 비롯, <뉴스1>, <뉴스타운>, <브레이크뉴스>, <아주경제>, <CNB뉴스> 등 6개 매체 부산경남지역 본부장들은 최근 부산시청 인근 모 식당에서 모임을 갖고 ‘부산중앙언론연합기자단(부언련)’을 출범시켰다. 이들은 이날 정관 구성, 간사 선임, 주요 의제 설정 등에 합의했다. 초대 간사는 <일요신문>에서 맡기로 했다.
부언련은 향후 부산시청 기자실의 폐쇄적인 구조를 혁파하는데 함께 나서기로 뜻을 모았다. 또 일정 요건을 충족하는 매체들에 대해 문을 열어 세를 불려나가기로 했다.
이번 ‘부언련’ 발족의 계기는 단연 폐쇄적인 부산시청 기자실 운영에 있다. 부산시청 기자실 운영시스템은 전국에서 가장 전근대적이라는 비판을 받고 있다. 가장 대표적인 예가 회원 구성이다. 인근 경남도의 경우 기자실 출입요건을 한국기자협회·전국언론노동조합 가입사로 둬 일부 중앙경제지까지 회원으로 등록돼 있다. 이에 비해 부산의 경우 중앙경제지의 기자실 출입이 불가능해 1층 한 켠에 ‘중앙경제지기자실’이란 별도의 방이 마련되는 웃지 못 할 일이 오랜 기간 지속되고 있다.
현재 부산시청의 취재지원을 위한 공간은 크게 세 군데로 나뉜다. 기자실과 앞서 언급한 중앙경제지기자실, 그리고 브리핑실이다. 우선 기자실은 한 개의 방이 칸막이를 두고 좌우로 나눠져 있다. 문을 열고 들어가 오른쪽은 국내 10대 중앙일간지와 <YTN> 등 11개 매체 기자들의 좌석이 포진돼 있다. 왼쪽은 <국제신문>과 <부산일보>를 비롯, <연합뉴스>와 방송사 등 8명이 사용하고 있다.
이들 19명의 기자들에게는 개인 데스크는 물론, 식사 및 간식을 포함한 기타 편의사항 제공 등 각종 혜택이 주어진다. 부산시로부터 직·간접으로 지원되는 광고 등 부가이익도 막대하다. 일부 기자에게는 ‘근접경호’를 방불케 하는 1:1 마크도 이뤄지고 있다.
브리핑실은 기자실 바로 옆에 마련돼 있다. 이곳은 지난 2006년 경남울산기자협회 등의 기자실 출입 요구가 일부 수용됨에 따라 개방됐다. 부언련에 참가하는 6개 매체를 비롯, 경남지방지 2~3개 매체 소속 기자 등 10여명이 상시 출입하고 있다.
기자실과는 달리 이곳에는 개인 데스크가 없다. 브리핑실 출입이 상대적으로 오래된 <일요신문>과 <경남신문> 등 일부 기자의 경우 자리 하나씩을 고정좌석으로 이용하고는 있지만, 기자실의 개인 데스크와는 개념이 전혀 다르다. 또 편의사항 제공 및 광고 배정 등에서 상당 부분 배제되고 있다. 취재지원에 대한 불편사항이 생겨 개선을 요청하면, 이에 대한 응답도 느리기 일쑤다. 특히 브리핑이 있을 때는 아무리 중요한 업무가 있더라도 이를 중단해야 한다. 자의와는 상관없이 브리핑에 참가할 수밖에 없도록 돼 있는 것이다.
중앙경제지기자실은 <매일경제>, <머니투데이>, <서울경제>, <파이낸셜뉴스>, <한국경제>, <헤럴드경제> 등 6개 매체의 기자들이 쓰고 있다. 이곳도 상황이 열악하긴 마찬가지다. 개인 데스크가 각각 마련돼 있긴 하지만, 국내 유수의 메이저언론사 기자들이 상주하는 공간이라고는 보기 힘들 정도로 시설과 비품 등이 형편없다. 지난 2009년 장기적인 계획 없이 급하게 마련되다 보니 빚어진 결과다. 또 매체 당 광고배정도 연간 1천만 원(2014년 기준) 수준에 머물러 기자실 회원사와는 엄청난 차이를 보이고 있다.
부산시청의 취재지원 공간은 이렇게 운영되고 있다. 하지만 전체 골격을 꼼꼼하게 들여다보면 결국 기존 기자실 운영을 더욱 공고히 가져가기 위한 방편에 지나지 않은 것임을 알 수 있다. 종편 출현 및 인터넷 매체의 활성화 등 여러 변화에도 불구, 일부 기자들의 편의를 위한 취재지원의 관행이 계속되고 있는 것이다.
부산시와 달리 경남도에는 ‘취재지원실’이라는 공간이 마련돼 있다. 물론 이곳은 역사가 오래되지는 않는다. 다원화된 언론환경이라는 시대적인 요구에 맞춰 최근에 마련됐다. 이곳은 경남도청 기자실 회원이 아닌 경남도 주재 기자들이 주로 이용하고 있다. 부산시의 브리핑실과는 다르게 개인 데스크가 여러 개 있다. 특히 기자들이 기사작성 등의 취재업무만 할 수 있도록 돼있다.
한편 부언련 출범 소식을 접한 정재관 부산시 대변인은 “지금 곧바로 별도의 취재지원 공간을 마련하기는 어렵다. 하지만 향후 청사 리모델링 시 1층 중앙경제지기자실과 더불어 새롭게 공간을 마련토록 해보겠다”고 밝혔다. 또 기자실 출입요건을 완화해야 되진 않느냐는 물음에 대해선 “부산시가 관여할 문제가 아니다. 이는 전적으로 기자들끼리 해결해야 할 문제”라고 선을 그었다.
부산시청 브리핑실이 개방된 지도 거의 10년이 다됐다. 10년 가까이 이른바 비회원사 기자들이 불편과 차별을 참아 온 셈이다. 이제 권위주의 시대의 유물로 남겨진 부산시청 기자실의 폐쇄적인 운영에 종지부를 찍어야 할 시점이 왔다는 공감대가 널리 형성되고 있다. 부산시 수뇌부의 결단이 필요하다는 데 이견이 없어 보인다.
하용성 기자 ilyo33@ily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