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하진 국회의원(새누리당.성남분당을)
국회 산업통상자원위원회 소속 전하진 의원은 10일 오전 정부 세종시청사에서 열린 산업통상자원위원회에 대한 국정감사에서 이같이 밝혔다.
전하진 의원이 네비건트 리서치 자료를 분석한 바에 따르면, ESS 시장규모는 불과 5년 뒤인 2020년까지 평균 40조, 최대 58조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는 석탄과 증기기관, 석유와 내연기관에 의해 각각 1, 2차 산업혁명이 주도되었듯, 제3차 산업혁명은 신재생에너지와 에너지 저장장치 즉, ESS에 의해 주도될 것이라는 여러 전문가들의 견해와 일치한다고 밝혔다.
ESS(Energy storage system)는 생산된 전력을 저장하였다가 필요시 사용할 수 있도록 송전하는 에너지저장시스템이다. 지구 어느 곳에서나 무한대로 제공되는 태양광을 에너지로 변환하고, 이를 ESS를 통해 필요한 시기에 전기에너지를 공급하면 에너지비용은 거의 제로가 된다.
미국 에너지기업 테슬라는 지난 5월 소규모 에너지저장장치인 7Kwh급 가정용 배터리를 3천 달러에 출시하고 5년 뒤에는 가정용 배터리 가격을 반으로 낮추겠다고 공언하는 등 선진국들은 이미 발 빠르게 ESS를 활용한 에너지혁명을 준비하고 있는 추세다.
유럽연합은 각 가정의 지붕 위에 솔라크로스 헝겊 천으로 된 솔라를 깔고 마이크로그리드로 ESS를 설치해 개별 가정에서 전력을 생산하고 판매할 수 있도록 정부지원 전력매칭시스템 제도를 시행하고 있다.
전하진 의원은 “주요 선진국들은 앞 다투어 신재생에너지 산업에 대한 다양한 지원책까지 내놓고 있지만, 우리나라는 적극적으로 대응하지 못 하고 있다”며, 해당부처인 산업통상자원부는 사실상 뒷짐만 지고 있다고 지적했다.
특히, 전 의원은 “정부가 여전히 대형발전이 효율적이라는 인식에 매몰되어 소규모 발전의 중요성을 실감하지 못 하고 있다”며, “대형발전소를 통해 만들어진 전력을 송전하기 위해 송변전 및 송전탑을 설치, 유지하는데 드는 비용만도 지난 10년간 27조에 달하는 등 유지, 관리비용 외에도 사회비용, 환경비용을 고려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전하진 의원은 “소규모 발전이 보편화될 경우 송변전 회피비용 등 매년 3조 원의 비용을 감축할 수 있다”며, “소규모발전은 마치 대형컴퓨터와 퍼스널컴퓨터와 같이 이제 에너지도 퍼스널에너지시스템이 가능한 시대가 빠르게 우리에게 다가오고 있다. 모든 시스템을 이런 환경에 맞춰 발 빠르게 대처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정부는 지난 2014년에 발표한 제2차 에너지기본계획에서 2035년까지 발전량의 15%를 소규모 분산형전원을 통해 공급하겠다고 계획하고 분산형 전원 활성화 계획을 통해 세부방안을 확정하겠다고 밝혔지만 구체적인 방안을 수립하지 않았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
서동철 기자 ilyo22@ily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