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성중기 서울시의원
성중기의원에 따르면 양 공사에서 받은 자료를 토대로 서울메트로 4억2천1백만 원, 서울도시철도공사 4억1천7백만 원의 예산을 투입하여 시민안전지킴이 앱을 개발하고 배포하였지만 지난 10개월간 다운로드 건수가 고작 3만 건, 민원처리 역시 1만 건에 불과한 것으로 드러났다.
양 공사는 실내 AP 위치기반의 신기술을 적용하여 전동차 내 성추행, 냉난방관련 민원 등과 같은 상황 발생 시 실시간 대응으로 승객의 안전 확보 및 맞춤형 지하철 민원해결, 정보제공을 목적으로 추진하였다.
서울메트로는 2014년1월부터 시스템 구축 계획 수립을 시작으로 약 6개월의 개발기간을 거쳐 올해 1월 대 시민 공개를 통해 서비스를 시작하였고, 서울도시철도공사는 2014년 11월 시스템 구축(안)을 통해 약 3개월간의 개발기간을 가지고 올해 3월부터 서비스를 개시했다.
또한 심사 및 검토를 통해 운영체제(iOS, android) 지원, 모바일분야 전문가 검토 등을 통해 예산사용에 대한 타당성을 확보하여 실시하였다.
성중기의원은 “제출된 자료에 의하면 현재 iOS기반의 아이폰은 지원되고 있지 않은 실정이고, 보안관전용 앱의 설명 오류로 사용자의 혼란만 가중시키고 있다”고 지적됐다.
성중기의원은 행정사무감사 자리에서 직접 핸드폰으로 시연하며, 서울메트로에서 제출한 누적 다운로드건수에 대한 지적과 사용자들이 남긴 리뷰를 통해 얼마나 부실하게 운영되고 있는지 질타하며 “시민의 혈세 8억을 투자한 앱이 오류투성이며, 사용이 불편하다”며 “시민의 안전을 지키기 위한 앱인지, 중소기업을 살리기 위한 앱인지 알 수 없다”며 질타했다.
또한 시민에 대한 홍보역시 부족하여 지하철을 이용하는 승객들조차 앱의 존재에 대하여 모를뿐더러 직원들 역시 모르고 있어 앱을 이용하는 시민들에게 빈축을 사고 있다.
그리고 앱을 이용하기 위해서 수많은 개인정보에 동의를 해야만 하는 실정 또한 지적됐다.
해킹 위협에 노출되어있는 개인 스마트폰에서 시민안전지킴이 앱을 이용하기 위해선 개인주소록 및 위치, 문자, 전화, 사진 등 개인정보 제공에 동의를 하지 않으면 설치 자체가 되지 않고 있다.
또한 스마트폰이나 서버가 해킹될 경우 이용자의 중요한 개인정보가 노출 될 여지가 있어 설치를 꺼려하는 사용자에 대한 문제 역시 도마에 올랐다.
성중기의원은 “시스템 구축계획 수립부터 배포까지 1년이 넘는 충분한 개발시간을 가졌음에도 아이폰을 지원하지 않는 반쪽짜리 앱일 뿐만 아니라 시민홍보도 부족하여 사용실적이 매우 낮다”고 지적했다.
또한 “앱에 대한 사용자들의 불만역시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어 충분한 사후관리를 통해 앱의 문제점을 수정하고 보완할 것”과 “홍보를 통해 많은 시민들이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환경 조성 및 직원 교육을 실시하여 시민과 직원간의 연계성을 확보 할 것”에 대하여 촉구했다.
김정훈 기자 ilyo11@ily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