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제주 해저터널’ 사업 위치도. <전남도 제공>
[일요신문] ‘제주 폭설 고립’으로 관광객 9만여명이 발이 묶이는 “교통대란‘ 사태가 발생하면서 목포~제주 해저터널을 통한 고속철도 건설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다시 높아지고 있다.
하지만 대규모 국가적 사업을 두고 중앙정부나 제주도와 별다른 교감 없이 즉흥적으로 성명을 발표했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이낙연 전남도지사는 26일 발표한 성명을 통해 “이번 폭설과 강풍으로 인한 제주공항 마비사태로 목포~제주 간 해저터널을 통한 서울~제주 간 KTX 개통의 필요성을 재확인했다”고 밝혔다.
이 지사는 이어 “중앙정부와 제주도, 한국공항공사 등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2박3일 동안 9만 명이 제주공항에 발이 묶임으로써 기상이변의 시대에 맞는 새로운 대처 방식이 절실해졌다”고 강조했다.
이 지사는 “이번 사태가 아니더라도, 제주공항은 기상 악화로 비행기가 제 시간에 이착륙하지 못하는 날이 해마다 평균 50일을 넘는다”며 “제주도 제2공항 건설 계획을 이해하고 찬성하지만 공항 증설만으로는 기상 악화, 특히 갈수록 심각해질 기상이변에 대처할 수 없다”고 지적했다.
이 지사는 또한 “이번 일을 겪으면서 제주도 내부에서도 목포~제주 간 해저터널을 통해 서울~제주 간 KTX를 연결하자는 주장이 나왔는데 옳은 지적”이라며 “대한민국 관광산업의 발전을 위해서도 서울~제주 간 KTX 개통을 서두를 것을 중앙정부에 요청한다”고 말했다.
이와 함께 “기상 이변이 일상화되는 시대에 제주공항과 인천공항 등의 대안공항을 확보하기 위해서도 호남선 KTX 2단계 노선이 무안공항을 경유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 지사는 또 “지난 2014년 7월 청와대에서 열린 시도지사 간담회에서 목포~제주 간 해저터널을 통한 KTX 건설을 박근혜 대통령께 공개적으로 제안했다”고 덧붙였다.
그러나 이날 이 지사의 성명은 최근 발생한 기상이변에 따른 것으로 대규모 국가적 사업 추진에 필요한 정지작업이 부족한 상태에서 여론의 역풍만 초래하는 것 아니냐는 우려도 나온다.
목포~제주 해저터널은 2007년 9월 전남도와 제주도가 대정부 공동건의문으로 국책사업에 포함해줄 것을 건의하면서 처음 제시됐다.
그러나 ‘신공항 건설’과 섬 정체성 훼손 등의 여론에 밀려 제주도가 반대하면서 추진이 중단됐다.
전남도는 총 길이 167㎞인 목포~제주 구간을 해남까지는 지상(66㎞)으로, 해남~보길도 사이는 교량(28㎞), 보길도~추자도~제주도 구간은 해저(73㎞)로 놓자는 계획을 세워놓고 있다.
정성환 기자 ilyo66@ily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