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송재형 서울시의원
서울에서 중학교를 졸업하는 학생의 71.5%가 일반고로 진학하는 상황임에도 대학진학에 초점을 둔 진로교육으로 인해 직업교육이 소홀하게 다루어지고 있다. 현재는 직업교육을 원하는 일반고 학생의 경우 2학년까지 인문교육을 받다가 3학년에 가서야 1년간 직업교육이 병행되는 2+1 구조이다.
이번 연구 용역 결과, 첫째, 직업교육의 구조는 2+1에서 1+2 구조로 전환되어야 하며, 3학기는 원하는 직업에 대한 이론교육과 1학기의 현장실습교육이 필요하다는 결론이 도출되었다. 둘째, 일반고 재학생의 직업교육에 적합가능한 직업으로 반려동물관리사, 스포츠시설코치, 여행플래너 등 15개 직업의 교육과정을 제시했다.
이러한 연구용역결과는 2016년도 서울시교육청의 일반고 직업교육편성에 좋은 참고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이번 연구에서 진행된 설문조사에서는 일반고 학생들이 직업교육을 선택하는 주요한 이유가 ‘학교 졸업 이후의 진로탐색’(47.7%)이라고 답했으며, 직업교육의 시기는 1학년이 응답자의 55.7%, 2학년이 38.0% 응답율을 보여 직업교육과정의 개설시기가 빠를수록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용역보고서는 학생직업교육의 환경적 한계에 대해서도 지적했다. 먼저 적정한 교육과 교육 후의 취업 및 경력에 따른 보수가 정확하게 이루어져야 하나, 학력이 해당 직업에 진입하지 못하게 하는 장벽으로 작용하는 것이 현실적인 문제점으로 지적되었다.
학력과 경력을 병행 산정하는 등가성의 원칙이 적용되는 사회분위기가 필요하다는 것이다. 끝으로 일관성 없는 자격증 제도의 혼란상이 지적되었다. 민간자격증의 난립으로 인해 학생들로 하여금 혼란을 야기할 수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국가나 지자체가 자격제도에 대한 좀 더 많은 관심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이번 연구용역은 디지털서울문화예술대학교 연구팀(김젤나 교수, 최윤진 교수, 최영창 교수, 최재문 교수, 박연성 교수)에서 맡아 서울시의회 입법담당관실과 서울시교육청 진로직업교육과의 협조 하에 6개월간 진행되었다.
김정훈 기자 ilyo11@ily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