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청년포럼은 광주시가 각 분야의 의견을 수렴해 지역 여건에 맞는 정책을 발굴하기 위해 4차례에 운영한 행사다.
청년경제와 청년문화, 청년복지에 이은 제4차 포럼에서는 사회 전반에 대한 청년의 참여 방안을 모색했다.
발표자로 나선 서복경 서강대 연구교수는 지역 단위에서 이루어지는 청년정책 제도 등을 검토한 후 현재의 불안정한 경제 환경을 언급하고 “미래 세대인 청년이 적극적인 정책 생산자로 나서야만 사회 변화에 발맞춘 청년 정책이 수립될 수 있다”며 “중앙정부의 획일적인 정책을 벗어나 지방정부가 지역의 여건에 맞는 다양한 미래 실험을 청년들에게 맡겨야 한다”고 주장했다.
박은철 청년센터 아카이브 대표는 청년단체 활동 10년을 소개하고 “청년은 생애 가운데 가장 불안정한 시기여서 사회 참여가 어려울 수 밖에 없다”며 “광주시는 청년들의 참여활동을 보장하고 지원하는 정책을 고려해야 하고, 청년들은 시민으로서의 의무를 다한다는 생각을 가져야 한다”고 밝혔다.
지정토론에서는 광주 청년정책 기본조례를 발의해 제정한 임택 광주시 의원이 “청년에 대한 종합적인 정책의 필요성은 공감대를 이뤘기 때문에 단위사업 중심의 정책을 벗어나 보다 폭넓은 계획을 서둘러야 할 때다”고 말하고,
부산 청년포럼의 박진명 대표는 부산과 광주를 비교하면서 “부산은 청년 당사자들의 요구가 강한 반면, 광주는 지방정부의 의지가 강한 것 같다”며 “각 지역 청년단체의 연대체 구성을 제안한다”고 말했다.
종합토론에서는 청년 거버넌스의 전국 최초 사례인 광주청년위원회와 전 세대가 참여하는 광주청년정책공감단을 비롯해 지역 시민사회단체 활동가, 전문가 등이 참여해 광주 청년정책의 쟁점들을 다양하게 모색했다.
박상일 1기 광주 청년위원은 “지난해 청년위원회 활동을 하면서 시의 각종 위원회 등에 청년 할당을 보장해야 한다는 의견을 모았다”며 “이번에 광주시가 이를 반영해 10% 청년 할당을 시도하는 것은 박수를 보내고 싶다”고 말했다. 대학생 김진휘 씨는 “행정과 청년, 지역사회 전반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서로에 대한 신뢰다”며 “미숙하고 부족해도 청년을 믿고 지지해 주는 분위기를 만들어가자”고 제안했다.
시는 네차례 포럼의 내용을 구체적으로 정리하는 자문간담회를 개최한 후 현재 수립 중인 광주 청년정책 기본계획과 연계해 정책 과제를 구체화할 계획이다.
한편, 광주시는 2014년 청년 전담부서를 신설하고 지난해 지역청년들의 취업·진로, 경제·고용, 문화·복지, 사회·지역인식, 정책인지 등 종합적인 실태를 파악한 ‘광주청년 종합실태조사’를 실시했다.
올해는 실태조사 결과를 토대로 다양한 단위가 참여하는 광주청년포럼을 통해 광주 여건에 맞는 분야별 청년과제를 도출해 10월말 개최 예정인 ‘청년도시 컨퍼런스’에서 국내외 지방정부, 민간단체 등과 함께 청년정책을 공유할 예정이다.
ilyo66@ilyo.co.kr
-
한전 전주이설 항의민원 거짓답변·강압적 대응 파문
온라인 기사 ( 2021.10.18 22:06 )
-
백신패스 시행 후 목포 코로나 신규 확진자 중 돌파감염 65.7%…백신패스 한계 드러내
온라인 기사 ( 2022.01.12 23:45 )
-
임실군 비료생산업 등록·관리부실…환경오염 원인 제공
온라인 기사 ( 2022.01.20 16: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