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도> 박영훈이 백1로 젖힌 장면. 좌하변은 원래 백진이었는데, 흑(▒)이 들어와 살았다. 백은 이 돌들을 공격하면서 대가를 찾아야 하는데 백1은 약했다는 평.
<2도> 흑1을 활용하고 3으로 막으니 백4로 잡는 정도인데, 다음 흑5로 단수 치고 7로 막아 간단히 삶의 터전을 마련한 모습. 백의 명백한 공격 실패.
<3도> 백1로 들여다보는 것이 강수였다고 검토실은 입을 모았다. 흑2면 백3. 이건 흑이 한동안 시달릴 모습이고, 그러면 백은 상변 미생마에 대한 걱정도 덜 수 있었다는 얘기.
<4도> 중반의 마무리 전투 장면. 흑1로 끊은 것이 날카로운 수. 백A로 단수치는 것은 흑B로 나가 백이 안 된다.
<5도> 백1~5 때 흑6으로 붙인 것은, 이제 공격은 이쯤하고 실속을 택하겠다는 것. 이걸로 형세는 반면 10집 이상 넉넉하니까. 백7로 끊은 것이 실착.
<6도> 흑1~5로 챙길 건 챙기고 우변도 살아 버리는 순간 차이가 더 벌어진 것. 하네 9단도 “이 장면에서는 이겼다”고 생각했다고 했다. <5도> 백7로는….
<7도> 백1로 그냥 꼬부리는 것이 끈끈했던 수라고 한다. 흑2일 수밖에 없는데, 백3으로 찌르는 맛이 까칠하다는 것. 우변 흑은 실전처럼 A로 끊어 살지만, 중앙 쪽에는 백B로 움직여 나오는 수가 있다. 흑이 백B를 방비하면 백A에 이어 이제는 우변 흑이 잡힌다. 이건 그렇게 어려운 수도 아닌데, 초읽기에 몰려서 그랬는지. 어쨌든 박영훈이 이렇게 힘없이 지는 것도 보기 힘든 일이다.
이광구 바둑평론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