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와 관련 부산시는 신공항지원본부(본부장 김부재)란 전담조직을 마련해 다각적인 노력을 하고 있다.
하지만 24시간 운영을 비롯, 소음이나 활주로 길이 문제 등의 현안이 산적해 있어 시의 힘만으로는 다소 부족한 게 사실이다.
박재본 의원은 이날 우선 “그간 수차례 제기된 문제 외에도 세계적인 허브공항이자 남부권의 신공항이란 인식을 갖고 앞으로의 추진과정에 적극적으로 참여해야 한다”며 “특히 지금이 대정부 요구를 위한 목소리를 높여야 할 때”라고 강조했다.
박 의원은 “공항이 국가사업이라고 해서 부산시가 신공항에 대한 정부의 계획에 수동적으로 대응할 것이 아니라, 정부를 상대로 선제적으로 요구하고 능동적으로 사업을 주도해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지금수준의 국제공항과 크게 다르지 않거나 ‘찔끔 예산’으로 사업이 지연돼 폭증하는 항공수요에 제대로 대응할 수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특히 박 의원은 “남부권 허브공항으로 조성돼야 하는 만큼 신공항프로젝트의 가치를 높이기 위해서는 ‘부산국제공항’으로 추진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신공항 명칭이 신공항의 성패를 좌우할 수 있는 중요한 문제인 만큼, ‘부산국제공항’과 ‘부산신항만’을 연계할 때 명실상부한 물류·여객 허브포트로 자리매김할 수 있다는 게 박 의원의 주장이다.
박 의원은 또 “남부권 전체를 아우르는 허브공항으로 만들기 위해 고속철도로 부산에서 출발 김해공항을 경유해 진주·광주를 연결하는 남해안 KTX 건설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부산에서 광주까지 6시간에서 2시간이내로 단축시킬 수 있게 돼 신공항의 이용권역을 남부권 전체로 확대할 수 있다는 논리다.
무엇보다 남해안 인구 2천만의 경제적 동반성장과 함께 영호남 대통합을 도모해 신해양시대를 여는 국토남부권 위상을 정립할 수 있게 된다는 것이다.
박재본 의원은 “인천국제공항은 상하이 푸동국제공항과 베이징 국제공항을, 그리고 부산신공항은 ‘오사카 간사이 국제공항’과 ‘도쿄 나리타국제공항’을 경쟁상대로 항공전쟁 치루는 것이 국가경쟁력을 키우는 것”이라며 “이것이 부산과 인천이 서로 시너지효과를 극대화시키는 길”이라고 강조했다.
ilyo33@ily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