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 영도구 물량장 모습.
[부산·경남=일요신문] 송희숙 기자 = 부산항만공사가 부산 영도구 물량장에 계류 중인 137척의 예·부선을 창원시 영길만의 신항 웅동배후단지로 이전한다는 계획에 창원시 측이 즉각 반발하고 나서 향후 마찰이 예상된다.
안상수 창원시장은 항의공문을 통해 “계류장의 혐오시설을 창원시와 사전협의도 없이 독단적으로 추진하는 것은 107만 창원시민을 무시하는 처사이며 유감스러운 일”이라며 이전계획 철회를 지난 7일 부산항만공사에 강력히 전달했다.
부산항만공사에서 예·부선을 이전하려는 진해구 영길만 지역은 이순신 장군의 안골포 해전 승전지로 유명한 안골만 보존지역과 인접한 곳이다.
시는 안골만 승전 기념공원 조성을 추진 중에 있어 창원시의 관광시책에도 위배된다는 입장이다.
현재 영도구 봉래동에 계류된 배들은 대부분 바지선으로 강과 운하 등에서 화물을 운반하거나 항만공사에 이용되는 배들로 4대강 당시 사용됐던 배들이 대부분이다.
현재는 공사가 끝나자 일거리를 찾지 못하고 불황의 여파로 항만의 공사가 없자 선주들은 배를 출선하지 못해 부산항만공사에 계류비만 지급하고 놀리고 있는 상태다.
자산 가치는 몇 억씩 하나 팔고 싶어도 공사가 없으니 쓴다는 곳도 산다는 사람도 없다. 고철 가격도 예전만 못해 고물 값도 안 되니 처분도 못하는 상황이다.
영도구 봉래동 계류장은 본래 선박의 계류를 위한 항만시설이 아닌 화물이나 여객을 처리하도록 만든 물량장으로 파도가 없고 수면이 잠잠해 별도의 시설 없이 계류장으로 쓰기에 적합해 현재 계류장으로 활용되고 있다.
공사가 없으니 점점 들어오는 배가 늘어나 수용이 힘들 정도의 상태가 됐다.
제대로 된 계류시설이 없다보니 배들끼리 서로 묶어 두고 있는데 바로 옆이 여객선이 지나가는 항로라 정식 계류시설이 없다 보니 돌풍이나 태풍 등이 불 경우 계류장의 배들이 서로 부딪혀 묶여있던 줄이 풀릴 가능성이 있어 여객선뿐만 아니라 작은 어선까지 위협이 될 상황이다.
더군다나 봉래동 물양장 자체도 민가와 시민들이 드나드는 인도와 바로 인접해 있고 공원이 조성돼 있어 일기 변화에 따라 상시 위험이 도사리고 있는 것이나 마찬가지다.
또 봉래동 물양장 쪽에 문화체육관광부의 조선업 밀집지역 관광산업육성사업 일환으로 컨테이너 복합쇼핑몰이 30억 예산으로 들어설 예정에 있어 안전의 문제는 더욱더 심각해진다. 그동안 영도구민들의 민원으로 해당 구청은 항만공사에 몇 차례 이전을 요구한 바 있다.
부산항만공사는 이러한 위험요소를 고려해 그동안 안전한 계류시설을 찾기에 고심해 왔으나 각 항만 측의 거부로 적절한 장소를 찾지 못했고 국가가 항만 기본계획에 따라 큰 부선 전용 수용시설이 갖춰지면 좋으나 워낙 큰 예산이 들어가는 사업이다 보니 어렵다는 입장을 밝혔다.
웅동배후단지 이전 시도에 대해 보다 안전한 시설을 찾다 보니 주변 인가가 없는 웅동배후단지로 결정을 하게 된 것이고 창원시 쪽에 공사 수요가 있기에 공사 기간 동안 잠시 계류하겠다는 설명이다.
혐오시설이라는 창원시의 표현 또한, 보기 나름이며 아름다운 모습은 아니나 모두 국가 산업에 써왔던 배들인데 혐오시설이라고 하기에는 무리가 있다. 미관보다는 안전의 문제가 더 큰데 항만시설에서 배를 반대한다는 건 논리에 맞지 않다고 주장했다.
하지만 창원시는 수용절대 불가의 입장이다. 먼저 배 이전은 부산항만공사가 창원시와 아무런 협의와 통보 없이 몰래 추진한 부분이며 애초 아무런 문제가 없었다면 공개적으로 이전을 진행했겠지만 그렇지 못하기 때문에 비공개적으로 추진한 것이기에 정당하지 못하다고 주장한다.
계류하려는 배 또한 대부분이 무동력 바지선이기 때문에 주위에 민가가 없다 해도 장기 계류할 경우 움직임 위험과 기름유출 등 항만 오염이 예상돼 어업을 생계로 삼고 사는 사람이 많은 진해의 경우 어장관리과 어선 피해 등이 예상된다는 것이다.
실제로 해당 지역은 제덕, 와성, 영길, 안골마을 어민들의 어선통항로로 신항 및 항만배후부지 매립에 따른 해수면 상승으로 집중호우 시 우수배제가 지연돼 자연재해의 피해 우려가 높은 지역이기도 하다.
창원시에 따르면 봉래동 바지선의 계류지는 작년 당초 이동계획은 가덕도로 결정됐으나 갑자기 창원시 연도로 바뀌면서 어민들과 지역주민들이 집단행동과 집회는 하는 등 한동안 시끄러웠다.
90년대 초 신항개발 당시 연안에서 어업을 하던 어민들이 어업을 못하게 되는 등 피해가 심각해지고 보상 후에도 할 일이 없어진 어민들의 반발이 아직까지 심한데 다시 어민들의 어업권을 뺏는 일은 할 수가 없다는 입장이다.
창원시는 부산에서도 지역민들의 민원으로 못 옮기고 있는 상황인데 정당한 협의 없이 무조건 창원시로 이전하려는 것은 시민의 맞지 않으며 부산시에서 나온 문제는 부산시 안에서 먼저 해결을 해야 한다는 것이다.
또한 부산항망공사에서 계류장 건설이나 타 지역으로 이전보다는 우선 매입을 시도해 수를 줄여나가야 하는 것이냐고 지적했다.
창원시 관계자는 “영길만은 청정해역으로 노후 폐선 단계에 있는 예·부선이 계류하면서 배출하는 생활쓰레기, 기름유출 등 환경오염 유발과 범죄의 온상으로 전락할 가능성이 있어 창원시가 추진하고 있는 관광도시 창원의 정책과 맞지 않는다”며 “부산항만공사에서 주장하는 부선계류지 조성에 따른 선용품, 급유, 수리 등 부대지원업체 이전과 부선매매 및 용선 등으로 지역상권 활성화 및 복합해양 산업단지로 조성된다는 내용은 근거 없는 사실로 모든 행정력을 집중해 부선계류지 이전 계획에 대응하겠다”고 입장을 밝혔다.
ilyo33@ily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