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포성심병원 협심증 치료 모습
[부산=일요신문] 송희숙 기자 = 심장은 하루에 약 십 만 번 이상 힘차게 뛰면서 우리 몸 모든 곳에 피를 전달하는 아주 중요한 장기이다. 허혈성 심장 질환 중 협심증이 전체의 68.4%를 차지할 정도로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협심증이 심해질 경우 심근경색으로 이어질 수 있어 초기증상에 많은 관심이 주목되고 있다. 구포성심병원 순환기내과 전문의 신호철 과장이 말하는 협심증의 증상과 치료관리에 대해 알아보자.
“심장도 하나의 장기이기 때문에 피를 공급 받아야 기능을 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역할을 하는 것이 심장근육에 혈액을 공급하는 관상동맥입니다. 협심증의 협은 좁아진다는 의미로 관상동맥이 좁아지게 되면 심장의 근육에 원활히 산소와 영양분이 공급되지 않게 됩니다. 그러면 심장의 근육에 통증이 오게 되며 이를 협심증이라고 합니다.”
구포성심병원 순환기내과 신호철 과장은 “협심증의 원인은 결국 혈관이 좁아지는 것이 문제입니다. 나이가 들면 자연히 혈관이 손상될 가능성이 높아지고 여기에 혈관질환의 대표적인 원인이 되는 고혈압, 당뇨, 고지혈증이 동반되면 더욱 그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젊은 나이인데도 불구하고 협심증으로 30대에 시술을 받으시는 경우가 있는데 이 때는 대부분 담배가 원인이며 담배는 혈관에 매우 치명적이기 때문에 젊다고 해서 안심할 수 없습니다”라고 말했다.
혈관이 원래 크기의 70% 이상으로 막히게 되면 산소와 영양분 공급에 장애가 생기면서 가슴이 아픈 증상이 나타나게 된다. 협심증은 증상에 따라 안정형 협심증과 불안정형 협심증으로 나뉜다. 안정형 협심증은 그 증상이 운동시에만 가슴을 쥐어 짜는 듯한 통증이 있고 쉬면 호전 되는 양상이다. 불안정협심증의 경우에는 더 진행한 단계로 쉬고 있어도 통증이 자주 반복되는 상황이다. 발생 일반적으로 초기에 운동시에만 증상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병원을 찾지 않다가 가만히 있어도 아픈 경우에 겁이나 병원을 찾는 경우가 많다. 불안정 협심증은 심근경색 만큼 위험한 상태 이기 때문에 각별히 주의해야 하며 초기에 증상이 있는 경우 빨리 병원에 방문 하는 것이 좋다.
협심증과 심근경색은 대표적인 관상동맥 질환이다. 협심증은 혈관이 점점 좁아져서 상대적으로 혈류 공급이 심장근육에 모자라기 때문에 오는 일시적인 허혈 상태를 말한다. 반면 심근경색은 좁아진 혈관이 어느 순간 터져서 혈관을 완전히 막게 되고 결국 심장근육이 죽게 되는 즉, 괴사 상태를 말한다. 심근경색은 동반되어 발생하는 부정맥에 의해 심정지가 오게 되면 10명 중 4명은 갑자기 사망하게 되는 아주 무서운 병이다.
협심증은 기본적으로 환자의 병력을 듣고 심장초음파를 통해 심장 근육의 움직임을 관찰하게 되며 상황에 따라 운동부하검사를 통해 실제 운동 시 허혈이 발생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진단할 수 있다. 하지만 최종적으로는 관상동맥조영술 즉, 혈관을 직접 촬영해 좁아진 부위가 없는지 확인하는 방법이 가장 정확한 검사 이다.
협심증이 진단 되면 약물치료를 통해 통증을 경감시키고 혈관이 더 좁아지지 않도록 한다.
협착이 아주 심한 경우 좁아진 혈관을 넓혀주는 풍선 및 스텐트 삽입술을 시행한다. 손목에 있는 요골동맥 또는 사타구니에 있는 대퇴동맥을 통해 관을 삽입한 후 혈관 안으로 풍선과 스텐트를 넣어 혈관을 넓히는 시술이다. 환자의 상태에 따라 다르지만 일반적으로 시술 후 1~2일 경과 확인한 후에 퇴원이 가능하다.
구포성심병원 순환기내과 신호철 과장은 “불안정형 협심증은 심근경색과 함께 대표적인 급성 관상동맥 증후군에 해당하는 질환이기 때문에 심근경색에 준해서 관리하고 치료를 해야 합니다” 라며 “제때 치료하면 최악의 상황은 피할 수 있으므로 치료시기가 매우 중요합니다”라고 말했다.
ilyo33@ily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