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실 김 의원은 최근 개각 과정에서 내심 자신에게도 ‘기회’가 올 것으로 기대한 흔적이 있다. 그의 측근들은 지난해 말까지만 해도 이명박 대통령과의 관계 개선에 방점을 두며 유화적인 입장을 자주 나타낸 바 있다. 이때만 해도 김 의원의 입각 가능성이 한 번씩 흘러나왔기 때문에 그로서는 당연히 청와대의 ‘콜’에 귀를 기울일 때였다. 내심 입각에 기대를 걸고 있었다는 얘기다.
하지만 최근 이달곤 의원이 행정자치안전부 장관으로 전격 내정되면서 김 의원의 기대는 말 그대로 ‘일장춘몽’으로 끝나버렸다. 김 의원 측은 이에 대해 “입각에 관한 한 청와대의 철저한 언론플레이에 놀아난 것”이라고 격앙된 반응을 여러 차례 보였다.
그 뒤 김 의원을 결정적으로 흥분시킨 것은 청와대 이동관 대변인의 ‘워딩’이었다. 이동관 대변인이 언론 브리핑에서 “우리(친박그룹)에게 기회(장관직)를 주면 그런 역할을 할 준비가 충분히 돼 있다”라고 김 의원이 발언한 것으로 공개한 대목이 문제가 된 것이었다. 마치 자신이 장관 자리를 구걸한 듯한 뉘앙스의 논평을 두고 발끈한 것이다. ‘입각 실패’ 구설수에 이어 ‘자리 연연’이라는 꼬리표까지 달게 된 김 의원으로서는 “이명박 정권과의 화해는 더 이상 없다”는 결론에 자연스레 도달했고, 그것이 “앞으로 할 말은 하겠다”라는 선전포고로 이어졌다는 것이다. 사실 김 의원에게 입각이란 행보는 장관 자리 자체에 대한 욕심이라기보다 ‘친이그룹과 친박그룹의 가교’라는 정치적 효용성 면에서 상당한 매력이 있었다는 점에서 정치적으로 뼈아팠을 것이고, 그 반작용으로 강경책을 택했다는 게 일반적 관측이다.
김무성 의원의 친박그룹 내 정치적 입지도 ‘독자적인 주전론’을 펴는 배경이 됐다. 이는 ‘포스트 박근혜’ 선두주자로서 친박그룹 내에서 일정한 자신의 위상을 세워놓아야 한다는 김 의원의 절박감이 묻어나오는 대목이기도 하다. 박 전 대표와의 교감이 전혀 없이 ‘친이와의 전쟁 불사’를 선포했다는 점에서 김 의원의 언행은 ‘친위 쿠데타’로 평가되기도 했다.
한나라당의 한 전략 관계자는 이에 대해 “김무성 의원은 오래전부터 박근혜 전 대표를 계파의 보스가 아닌 정치적 동지로 보고 있다. 그는 자신이 ‘포스트 박근혜’의 선두주자이기 때문에 독립적인 발언을 할 수도 있다고 본다”라고 전제하면서 “김 의원으로서는 앞으로 친박그룹이 탈당해 분당할 경우 ‘당권-대권 분리론’을 내세우며 당권을 차지하려고 할 것이다. 그럴 경우 김 의원은 박 전 대표와의 관계를 상하관계가 아닌 수평관계로 설정하는 데 더욱 집착할 것이다. 어차피 큰 산을 뛰어넘어야 자신도 정치적으로 클 수 있기 때문이다. 이것은 김 의원의 무리한 욕심이라는 점보다는 계파의 넘버 투로서 당연히 그가 설정해야 할 정치적 좌표라고 할 수 있다. 이런 점을 꿰뚫고 있는 박 전 대표로서는 이번에 김 의원이 자신의 의중을 무시하고 계파정치 운운한 것에 대해 넘버 원으로서 당연히 ‘공개 진압’에 나선 것이라고 볼 수 있다”라고 말했다. 이런 점에서 보면 이번 친박그룹 상층부의 ‘박근혜-김무성 갈등’은 계파 전체의 구조적 갈등이 아니라 서열 1, 2위 간 일종의 기 싸움이라고 할 수 있다.
성기노 기자 kino@ily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