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대하 박사는 물 순환과 수자원 운영 및 관리에 관한 연구를 수행했으며, 특히 지표에서의 물의 증발량(이하 지표 증발량)과 가뭄 현상 사이의 관계를 밝히는데 성공했다.
김 박사의 연구는 미국지구물리학회(AGU)의 학술지인 ‘지구물리학 연구지(Geophysical Research Letters)’에 게재됐다.
김 박사는 지표증발량과 가뭄현상 사이의 관계에 대한 강수량 자료를 사용하지 않고 기온과 풍속자료만으로 증발량을 추정했다.
그리고 추정된 증발량과 강수량 사이의 관계를 미국 전역을 대상으로 평가했다.
이를 통해 물이 상태변화(기체, 액체, 고체)를 하면서 지표와 대기사이의 물질, 에너지 그리고 운동량 등이 교환되는 작용인 ‘지표와 대기 사이 물 이동의 상호작용’을 기온과 풍속자료 만으로도 확인할 수 있다는 것을 밝혔다.
특히 APEC기후센터 김대하 박사와 이진영 박사는 이번 연구를 통해 2004년 사이언스(Science)지에서 논의됐던 ‘지표와 대기 사이 물 이동의 상호작용’이 강한 지역을 기상자료만 가지고도 확인할 수 있도록 했다.
이러한 지역에서 대규모 인간 활동으로 인해 지표 증발량이 크게 달라질 경우 강수량이 영향을 받을 수 있다는 것을 복잡한 수치모형이 아닌 기온과 풍속 자료만을 이용해 밝혀낸 것이다.
수치모형이란 수학적 조작을 수치 해석이나 자동화와 같은 방법으로 솔루션에 적합하게 축소되는 모델을 말한다.
APEC기후센터 김대하 박사와 이진영 박사가 공동으로 개발한 증발량을 기반으로 하는 가뭄지수는 대기와 토양의 상호작용이 강한 지역에서 가뭄의 심각한 정도와 지속성을 알아보는 데 효과적인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또한 대규모 산불발생의 위험을 강수량 자료가 아닌 증발량으로 평가함으로써 상시적인 산불발생 위험도를 정량적으로 파악하는데 효과적으로 활용될 전망이다.
APEC기후센터 김대하 박사는 “보통 강수량을 활용해 가뭄의 발생을 감시하기 때문에 가뭄예측의 신뢰성이 떨어지는 경우가 있다. 이는 가뭄의 심각한 정도를 건조한 수준이 아닌 습한 수준을 기준으로 산정하기 때문”이라며 “이번 연구 성과를 바탕으로 건조한 정도로 가뭄의 심각한 정도를 산정하게 되면 가뭄이나 산불위험과 같은 재난에 대해 좀 더 효과적으로 예측·감시할 수 있다”고 말했다.
한편, ‘알버트 넬슨 마르퀴즈 평생공로상’은 세계 3대 인명사전 중의 하나인 ‘마르퀴스 후즈후’가 정치·경제·과학·예술 등 각 분야에서 탁월한 업적을 이룬 인물들에게 주는 상이다.
ilyo33@ily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