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규석 기장군수가 , 수출용 신형연구로 건설허가 촉구를 위한 1인시위를 서울 광화문 원자력안전위원회 앞에서 하고 있다.
[부산=일요신문] 박영천 기자 = 오규석 기장군수가 8월 개최 예정인 원자력안전위원회의 전문위원회 심의를 앞두고 의료용인 수출용 신형연구로의 조속한 건설허가를 위한 1인 시위에 나섰다.
오 군수는 지난 27일 오전 서울 광화문 원자력안전위원회(이하 원안위) 앞에서 기장군 동남권 방사선 의·과학일반산업단지(동남권산단)내 들어서는 ‘수출용 신형연구로 개발사업’의 조속한 건설허가를 촉구했다. 지난해 3월과 11월에 이어 세 번째 1인 시위다.
해당 사업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과기정통부) 주관으로 부산시와 기장군이 함께 추진하는 역점 국책사업으로 지자체간 치열한 경쟁 속에서 2010년 7월 기장군으로 유치하게 됐으며, 향후 막대한 경제적 파급효과가 기대되는 미래 먹거리 사업이다.
하지만 2016년 9월 경주 지진과 지난해 11월 포항 지진 여파로 원안위의 안전성 심사가 강화되면서 현재까지 수출용 신형 연구로의 건설허가가 지연되고 있는 상황이다.
이에 기장군은 더 이상 사업의 지연을 두고 볼 수가 없는 상황이라 판단하고 직접 중앙부처 등을 방문하며 해결책을 강구하기 위해 발로 뛰는 행정을 펼치고 있다.
수출용 신형연구로는 암의 조기 진단과 치료에 사용되는 의료용 방사성동위원소를 생산하는 시설로 중성자를 이용한 반도체 생산, 비파괴 검사 등 다양한 연구에 활용할 수 있는 소형 연구로다.
지난 2008년, 캐나다 연구용 원자로의 노화문제로 방사성동위원소의 품귀현상이 빚어져 전 세계적으로 암세포의 뼈 전이여부를 알아보는 핵의학 영상검사가 마비된 것도 모두 수출용 신형 연구로와 관련이 있다.
동위원소가 제때 공급되지 않으면 의료의 질이 떨어지는 것은 물론이고 의료 수가가 높아져 진단 및 치료를 못 받고 목숨을 잃는 암환자들이 생길 수 있다.
이로 인해 국내에서도 동위원소 생산시설 건립 필요성이 줄곧 제기되어 과기정통부가 ‘수출용 신형 연구로 사업’을 공모하게 됐고, 당시 9개 지자체와 치열한 경쟁 끝에 2010년도 7월 기장군이 유치하게 됐다.
수출용 연구로가 준공되면 그동안 전량 해외수입에 의존하던 방사성 동위원소의 국내소비량을 100% 자력으로 공급하여 수입대체 효과를 거둘 수 있으며, 일본, 중국, 동남아 등 해외수출도 기대해 볼 수 있다.
향후 50년간 38조에 이르는 경제적 이윤 창출과 150여명의 고급연구원 유치 등 막대한 효과가 발생할 것으로 예상된다.
안전성도 충분히 검증 받았다. 수출용 신형 연구로는 원자력 발전소와는 애초부터 건설의 목적과 규모가 다르다.
열출력은 발전용의 0.3%에 불과하고, 내진설계도 발전용 원자로의 그것보다 훨씬 더 견고한 0.3g (g:중력가속도, 지진규모 7.0)로 채택됐다.
건설부지 역시 고리원전보다 8배 이상 높은 해발 80m의 고지대로 지정해 지진해일 피해와 각종 재난으로부터 안전성을 인정받았다. 운전조건도 안정적이며 건설위치, 잔열제거 방식 등에서도 사고위험이 없는 매우 안전한 원자로다.
오규석 기장군수는 “원자로의 열출력 양과 우라늄 양에 있어서 기존의 원자력발전소가 트럭이라면 의료용인 수출용 신형 연구로는 세발자전거다. 원자력 발전소와 애초부터 건설 목적과 규모가 다른 수출용 신형연구로에 원자력발전소와 동일한 허가 기준과 잣대를 들이대는 것은 과도한 규제”라며 “원자력안전위원회는 조속히 수출용 신형연구로 건설을 허가하라”고 주장했다.
한편 수출용 신형 연구로가 들어서는 동남권 산단은 기장군에서 2020년까지 준공을 목표로 조성 중이며, 총사업비 4천287억원으로 국비 676억원, 시비 414억원, 군비 3천197억원이 각각 투입됐다.
동남권 산단은 중입자가속기 개발사업, 방사성동위원소 융합연구 기반구축 및 파워반도체 산업클러스터 조성 등과 이와 관련된 강소기업 유치 집적화로 머지않아 명실상부한 ‘세계적인 방사선 의·과학 융합 클러스터’로 자리 잡아 지역발전의 견인차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
ilyo33@ily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