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는 지난 3일 통계청의 ‘2018년 농가경제조사’ 결과, 경북도 농가 소득이 4092만원으로 전년도 8위에서 3계단 급상승한 전국 5위를 차지했다고 7일 밝혔다.(광역시 제외)
(자료=경북도 제공)
이는 2017년 농가소득 3596만원에 비해 13.8%인 496만원이 증가해 사상 처음으로 농가소득 4000만원대에 진입한 것이다.
도는 향후 농가소득 5000만원 달성도 오래 걸리지 않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농가소득은 농업소득과 농업외소득, 이전소득 및 비경상적소득으로 구성된다.
도에 따르면 주요 농축산물의 생산량이 가장 많고 소득작목의 재배가 많은 경북이 농업소득 분야에서 전년 대비 34.8%가 증가한 1743만원으로 2016년에 이어 1위를 차지하며 농도(農道) 1번지 경북의 입지를 굳건히 했다.
보조금·연금을 포함한 이전소득·비경상소득 분야도 전년에 비해 14.3%가 상승, 전반적인 농가소득 증대를 주도했다.
이러한 결과에는 이철우 지사의 농식품 유통시스템 혁신에 대한 새로운 변화와 환골탈태를 위한 노력이 있었기에 가능했던 일이라는 후문인 것.
실제로 지난해 6월21일 도지사 취임 전 당선인으로 첫 번째 행보가 농식품 유통관계자 현장간담회를 주도할 만큼 유통 혁신에 대한 강력한 의지를 밝힌 바 있다. (재)경북도 농식품유통교육진흥원도 설립해 본격적인 운영에 나서는 등 경북의 적극적인 농식품 판매와 유통구조 개선 노력이 농가소득 증대와 직결된 것으로 보인다.
농업외소득 분야에서는 농업소득의 증가에도 불구하고 하위권에 머물러 있는 것으로 조사됐는데, 이는 전업농의 비율이 63%로 전북 다음으로 높아 겸업소득이 적고, 농가당 가구원수가 2.1명으로 전국 최하위 수준으로(전국평균 2.3명) 낮아 가구원의 근로소득을 통한 사업외소득이 적어 농외소득 비중이 상대적으로 낮을 수밖에 없다는 분석이다.
한편 농가소득과는 별도로 농가부채는 2556만원으로 전국 평균 3327만원을 밑돌고 있다. 하지만 2017년도 1753만원에 비해서는 큰 폭으로 상승해 농가부담이 증가된 것으로 조사됐다.
이에 대해 도 관계자는 “농축산시설 현대화와 스마트팜 확산을 위한 ICT융복합 시설 설치 등 농업구조개선을 위한 지속적인 시설투자가 농가부채 증가의 중요한 요인으로 보여, 이러한 투자결과가 농가소득 향상으로 이어질 경우 농가경제의 위험성은 더욱 낮아 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통계청은 농가경제 동향과 농업경영 실태를 파악하여 농업 정책수립과 경영개선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기 위해 매년 농가경제조사를 진행하여 결과를 발표하고 있다.
도 김종수 농축산유통국장은 “농도 경북으로 생산분야에서 경쟁력 우위에 있는 것은 분명한 사실이지만, 농외소득은 상대적으로 낮다. 앞으로 경북도는 농업소득 증대를 위해서도 적극적인 정책을 펼쳐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ilyo07@ily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