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영상에서 일본 우익인사는 “재일들이 운영하는 파친코에서 벌어들이는 자금은 북으로 송금된다. 그 돈으로 동북아시아를 위협하고 일본을 위협한다. 따라서 일본 내에 있는 한국인들을 몰아내야 한다. 한국인들은 쓰레기다”는 말로 군중들을 부추겼다. 이에 그 청년이 다가가 “한국인이 쓰레기라고? 다시 말해봐, 쓰레기?”라는 말과 함께 그의 멱살을 잡고 패대기친 것.
놀란 일본 우익인사는 경찰을 부르라고 소리쳤고, 결국 달려온 경찰에 청년은 끌려가고 말았다.동영상을 본 한국의 네티즌들은 일본 우익인사의 발언에 대한 분노와 함께 길거리에서 저런 소리를 버젓이 할 수 있는 일본의 상황에 어이없어 하는 반응들. 일본의 네티즌들 또한 청년의 행동이 정당했으며, 문제의 일본의 우익인사에 대해서는 “수치스럽고 부끄럽다”는 반응이 대부분이었다.‘초고속 전쟁’ 불붙었다
초고속 인터넷 가입자 유치 경쟁이 점입가경이다. 가입자에게 수십 만원의 보조금을 지급하는 것은 이미 공공연하게 알려진 일. 이번에는 월 7000원대의 초저가 상품이 등장, 경쟁에 불을 지피고 있다.
최근 일부 지역에서 배포된 전단지에는 100Mbps 광랜을 3년 약정시 월 7950원에 제공한다는 KT의 광고가 실려 있다. 또 일부 대학가에서는 ‘신학기 대잔치’라는 명목으로 월 9390원에 제공하고 있다. KT의 광랜 라이트 기본료가 3년 약정시 2만 5500원인 점을 감안하면 60~70% 이상 할인된 가격이다.
경쟁업체인 SK브로드밴드와 LG파워콤 측에서는 “월 1만 원 이하 요금은 원가 이하 가격”이라며 “KT의 보조금이 없으면 불가능하다”고 볼멘소리. 이에 대해 KT 측은 “일부 영업점이 과열 마케팅을 펼치는 것일 뿐”이라며 “자체 단속 중”이라는 말로 슬쩍 비켜가고 있다.
사정은 경쟁업체들도 마찬가지. SK브로드밴드의 경우 지역에 따라 신규 가입자에게 20만~43만 원의 현금을 지급하고 있다. LG파워콤도 신규 가입자 대상으로 21만~40만 원대의 현금을 뿌리고 있다. 여기에 모니터 컴퓨터 TV 게임기 등을 사은품으로 제공하고 있으며, 일부 지역에서는 인터넷TV(IPTV)와 인터넷전화(VoIP)까지 포함해 결합상품으로 가입하면 현금 지급액이 최대 99만원까지 올라가기도 한다. “또 미친소냐! 이젠 지겹다”
촛불 시위 1주기를 맞이하면서 최근 온라인상에서는 묘한 분위기가 형성되고 있다. 우연인지 캐나다 정부의 소고기 수입 개방 압력이 노골화되고 있기 때문이다. 캐나다는 “미국산 소고기는 수입하면서 캐나다산 소고기 수입을 막는 것은 명백한 국제법 위반”이라며 WTO에 제소해 놓고 있는 상태. 또 “WTO (재판) 이전 합의가 된다면 (수입산 쇠고기 연령제한) 30개월 미만에 합의하겠다는 입장”이란 내용의 논평을 내놓아 “이 정도로 양보했으니 받아들여라”는 식으로 한국 정부를 압박하고 있다.
이에 대해 네티즌들은 떠올리기 싫은 작년 사태에 대한 기억과 함께 일단 정부의 대응을 지켜보겠다는 입장. “또 광우병 소고기냐? 정말 지겹다 지겨워(네이버 redRTM7979)”, “이번에 다시 촛불이 켜진다면 그땐 정말로 각오해야 할 것(야후 BJ_hot42)”, “한국이 봉이란 걸 전세계에 알린 이명박 정부에 감사한다(다음 완득이)” 등 다양한 의견이 올라오는 가운데 정부의 수입 결정이 날 경우 다시 사람들이 뛰쳐나올 것이란 의견과 체념할 것이라는 의견이 팽팽히 맞서고 있는 상황이다.
“입 막으면 망명할 것이다”
네티즌들은 블로그와 댓글 등을 통해 한국 정부에 맞선 구글의 결정을 옹호하면서 이참에 해외에 서버를 둔 사이트로 옮겨 인터넷 규제를 피하자는 방법론을 제기하고 있다.블로거 ‘아시나요’는 “억압을 피하는 수단의 망명 선택은 자연스런 현상”이라며 사이버 망명을 적극 지지했으며, ‘winter2000’은 “현 정부의 정책이 저항을 받을 수밖에 없다는 것을 사이버 망명을 통해 보여줘야 한다”는 주장을 폈다.
인터넷 포털 다음에는 ‘세계 아고라 정의 포럼(cafe.daum.net/naneoneonaism)’이라는 카페가 개설돼 사이버 망명 문제를 놓고 활발한 토론이 벌어지고 있다. 현재 제기되고 있는 망명처는 유튜브 등 누구나 이용할 수 있는 제3의 공간. 그러나 외국 기업의 사이트를 이용하는 것을 넘어 누리꾼들이 자체적으로 해외에 서버를 둔 망명 사이트를 만들어야 한다는 주장도 강하다.
이들은 해외 법인설립과 해외에서의 서버 운용 등의 구체적인 논의도 진행시키고 있다.구글의 인터넷 실명제 거부와 네티즌들의 저항 움직임으로 현 정부의 인터넷 정책이 도전에 직면한 것은 사실. 만약 인터넷 망명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지고 그 붐이 확산된다면 사상 초유의 사태에 대해 세계의 이목이 집중될 것은 뻔한 노릇이다. 물론 이에 대한 부정적 이미지는 고스란히 현 정부의 부담이 된다.
한편 애초 한국 정부의 실명제 정책을 받아들이기로 했던 구글이 방향을 튼 것은 세계 각국에서 쏟아진 비난 때문. 유튜브 실명제 문제가 거론되자 지난달 30일 <워싱턴포스트> 인터넷판은 구글의 ‘사악해지지 말자’라는 모토가 한국에서 시험받게 됐다고 보도했다. 또 실명제 정책 수용 발표가 한국에서 보도되자 유명 블로거 톰 포렘스키가 <실리콘밸리 워처>에서 ‘줏대 없는 구글’이라고 비난하는 등 각국의 네티즌들로부터 구글과 한국 정부에 대한 비난이 잇따랐다.
구글이 예상과 달리 단호하게 나오자 당황한 것은 한국 정부. 구글 사태로 인해 현 정부의 정책이 전세계에 알려지고, 네티즌 활동을 억압하는 국가란 이미지가 새겨지게 된 것. 게다가 구글의 이런 결정에 마땅히 처분을 내릴 명분도, 자신도 없는 까닭에 스타일만 구기고 말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