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8월 5일 경남 창원 컨벤션센터에서 열린 낙동강 유역 통합물관리 방안 마련 관계기관 간담회에 참석한 조명래 환경부 장관(오른쪽 세 번째)과 영남권 5개 시도지사가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이날 연구용역 중간 보고회는 환경단체의 반발로 파행으로 끝이 났다. 사진=대구시 제공
[대구=일요신문] 대구시의 먹는 물 문제 현안이 최근 환경부의 낙동강 유역 통합물관리 방안 마련 연구용역 중간보고회 무산으로 제자리걸음을 하고 있는 가운데 대구시민들의 수돗물 불신은 더 커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구시민들의 이같은 수돗물 불신은 해마다 대폭 증가하는 추세로 식수원인 낙동강 수질에서부터 정수품질, 낡은 노후관까지 두루 걸쳐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3일 (사)대구안전생활실천시민연합(이하 대구안실련)이 조사해 밝힌 대구시민들의 수돗물 민원은 지난해까지 4년 간 총 7131건으로 매년 가파른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2016년 1324건이던 것이 2017년 1492건, 2018년 2204건, 2019년 2111건으로 조사를 처음 시작했던 2016년 대비 민원이 60%이상 늘었다.
이 중 이물질 관련이 5603건(78.5%), 녹물 1096건(15.4%), 냄새 186건(2.6%), 기타 235건(3.3%)으로 이물질과 녹물 관련이 전체 94%로 대부분을 차지했다.
이물질과 녹물 문제는 노후 상수도관과도 연결돼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구시의 30년 이상된 노후 상수도관은 총 연장 8013㎞ 중 757㎞로 약 9.44%를 차지하고 있다.
구·군별로는 수성구가 1045㎞ 중 135㎞로 가장 많고 이어 달서구(1279㎞ 중 132㎞), 남구(1149㎞ 중 103㎞), 북구(1135㎞ 중 101㎞), 동구(801㎞ 중 99㎞) , 서구(609㎞ 중 86㎞), 중구(396㎞ 중 72㎞), 달성군(1599㎞ 중 29㎞) 순이다.
대구안실련 관계자는 “최근 3년 간 30년 이상 노후 상수도관 교체는 매년 20~30㎞에 불과해 이런 추세라면 또 30년이 걸리면서 악순환이 반복되기 때문에 근본적인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수돗물 불신이 커지면서 수돗물을 그대로 마신다는 시민들은 극히 일부분인 것으로 나타났다.
대구안실련이 지난 2018년 6월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수돗물을 그대로 마신다’는 대구시민은 3.3%에 불과했다. 이는 전국 7%에 비해 절반 이하 수준이다.
그대로 마시지 않은 이유는 ‘믿을 수 없어서’라고 답한 시민이 34.8%로 수돗물에 대한 불신이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같은 수돗물 불신은 대구 상수원수의 약 68%를 차지하는 낙동강 수질에 대한 불신이 가장 컸다.
이낙연 전 총리가 2018년 6월 낙동강 강정고령보를 방문한 가운데 환경단체가 4대강 보 수문 개방 확대를 요구하며 녹차라떼를 전달하고 있다(좌). / 이낙연 전 총리와 권영진 대구시장이 같은날 대구 매곡정수장을 방문, 정수된 물로 러브샷을 하고 있다(우). 연합뉴스 제공
이에 대구시는 시정 3대 현안 중 하나인 안전하고 깨끗한 먹는 물 문제 해결을 위해 환경부의 낙동강 유역 통합물관리 방안 마련 연구용역 중간보고회에 앞서 지난달 초 대구 취수원의 낙동강 상류 이전 방침 고수에서 취수원 다변화 정책으로 방향 변화 가능성을 내비쳤다.
김중진 대구안실련 공동대표는 “대구시민들은 지난 1991년 낙동강 페놀오염 사태부터 2018년 과불화화합물 사태까지 열두 차례에 걸친 낙동강 오염 사고로 상수원에 대한 불신이 최고조에 달해 있다”면서 “먹는 물의 안전성을 확보하고 친수환경과 수생태계의 건강성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취수원 상류 구미공단에서 배출되는 약 2000여 종의 미량 유해화학 물질로부터 벗어나는 대책밖에 없다”고 했다.
이어 “하지만 원수와 정수시설이 마무리 좋다해도 수도꼭지 수질이 좋지 않으면 신뢰를 받기 힘들기 때문에 취수원 다변화란 정책 변화 뿐만 아니라 수돗물 공급 과정에서의 급수관과 노후 상수도관 갱생 등 추가적인 대책 마련도 따라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권영진 시장은 지난달 3일 환경부의 연구용역 결과 보고에 앞서 기존 대구 문산·매곡 취수장에 더해 구미 해평취수원과 안동 임하댐 등을 취수원 공동활용지역으로 하는 취수원 다변화 방침을 밝히고 후속 대책을 내놓을 예정이었지만 보고회가 파행을 겪으면서 제자리 걸음인 상태다.
김성영 대구/경북 기자 ilyo07@ily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