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강성조 행정부지사 “중앙정부 정책과 연계…실행방안 발굴해 나갈 것”
[안동=일요신문] “출생률 하락과 젊은 세대의 수도권 유출 등 지역인구 감소에 따른 지방소멸 위기가 그 어느 때 보다 심각하다.”
지난 27일 ‘경북도 지방소멸대응 종합계획’ 수립 연구용역 착수보고회가 경북도청에서 열리고 있다 (사진=경북도 제공)
경북도가 ‘지방소멸대응 종합계획’ 수립을 위한 용역을 추진한다. 인구감소로 인한 소멸위기 극복을 위해서인데, 광역자치단체로서는 전국 최초이다. 도는 지난 27일 각 분야 자문위원 및 시·군 담당자들과 함께 ‘경북도 지방소멸대응 종합계획’ 수립 연구용역 착수보고회를 갖고 맞춤형 중장기 지방소멸 대응전략 마련 및 중점시책 발굴을 위해 머리를 맞댔다.
지난해 한국고용정보원(이상호 박사)의 발표에 따르면 경북의 지방소멸위험지수는 0.47로 23개 시·군 중 19개 시·군이 소멸위험에 직면해 있다. 특히 고령화율의 경우 21.7%(전국16.4%)로 19개 시·군이 초고령사회에 진입해 있다. 이로 인해 군위, 의성, 영양 등 7개 군은 소멸고위험지역에 속해 있어, 전남도에 이어 가장 소멸위험이 높게 진단됐다.
경북도가 대구시와 분리된 1981년 319만명이나 되던 인구 수는 지난해 말 264만명으로 무려 55만명이나 감소했으며, 지난 한 해에만 경북도 인구는 2만6000여 명이 감소했다. 통계청은 2040년 경북도의 인구는 250만명 규모로 축소될 것으로 전망했다.
이에 대해 도 관계자는 “저출산과 고령화에 따른 인구감소는 피할 수 없는 현실로 축소지향 사회에 대비한 특단의 대책이 요구되는 시점”이라고 강조했다.
이 관계자는 “그동안 국가차원의 저출산․고령사회기본법 및 기본계획과 도단위 시행계획에 따라 저출산 극복을 위해 힘써 왔으나, 소멸위기 대응에는 한계가 있었던 것이 사실이다. 이제 ‘지방소멸’이란 공통이슈에 대해 중앙과 지방, 도와 시·군 간 협력적 정책추진 모델을 구축하고 인구감소 시대에도 지속가능한 발전전략 발굴 및 정책 추진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한편 도는 ‘경북도 지방소멸대응 종합계획’ 수립 용역으로 지방소멸 대응을 위한 중장기 비전, 전략 등 방향을 설정하고, 지역현황을 고려한 사람, 공간·인프라, 일자리 전략별 중점시책 및 융합전략 시책을 발굴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도내 23개 시·군의 인구규모와 인구구조, 이동유형 및 여건변화에 대한 실증 분석과 전망을 토대로 체계적으로 지역을 진단해 맞춤형 지방소멸 대응 전략을 마련하고, 국책연구기관 및 지역연구기관, 지역전문가들과 자문회의, 포럼 등으로 다양한 정책제안들을 검토해 전문적이고 현실성 있는 시책을 발굴해 나가기로 했다.
중앙정부 지방소멸 대응 정책방향에 맞추어 지방소멸 대응 시범사업 및 협력사업 등도 발굴할 계획이다.
강성조 도 행정부지사는 “이번 용역으로 경북도는 지역 현실을 반영한 맞춤형 지방소멸 대응 종합계획을 수립하고 중앙정부 정책과 연계한 실행방안을 발굴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최창현 대구/경북 기자 ilyo07@ily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