왼쪽부터 윤창중 대변인, 김행 대변인
최근 사석에서 만난 청와대 관계자는 뜬금없이 이명박 정부 당시 청와대 공동 대변인들을 입에 올렸다. 같은 기자 출신으로 지나치게 경쟁하는 모습을 보였다는 평가를 받았던 두 사람처럼 박근혜 정부 초대 청와대 대변인을 맡은 윤창중·김행 대변인도 비슷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는 얘기였다.
청와대에서는 5월 5일부터 10일까지로 예정된 박 대통령의 방미 때 두 대변인 중 누가 수행할 것인지가 관심사로 떠오른 바 있다. 윤·김 두 대변인 모두 자신들이 가겠다는 뜻을 굽히지 않은 것으로 전해진다. 심지어 일각에선 두 대변인 모두 방미 일정에 동행할 것이라는 얘기도 나오더니 결국 그렇게 결정된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 4월 16일 박근혜 대통령의 중증 장애인 시설 방문 때 벌어진 ‘대변인 공백 사태’도 이와 관련이 있다. 박 대통령이 경기 파주시의 중증 장애인 시설을 방문했는데, 당시 청와대 대변인 중 누구도 이를 수행하지 않은 것. 이날 방문은 박 대통령이 취임 후 처음으로 장애인 시설을 찾은 것으로, 보건복지부에서는 관련 보도자료까지 만들어 미리 배포하는 등 홍보에 열을 올렸다. 정작 박 대통령의 민생행보를 적극적으로 알려야 할 청와대가 뒷짐을 지고 있었던 셈이다. 원래 김행 대변인이 수행하기로 돼 있었는데, 그는 그 시각 대통령의 방미 관련 회의에 참석한 것으로 알려졌다.
두 대변인 간의 미묘한 기류는 진작부터 여기저기서 노출돼 왔다. 특히 두 대변인의 스타일은 상극에 가깝다. 정치부장과 정치 담당 논설위원 출신의 윤 대변인은 ‘청와대 대변인의 입은 무거워야 한다’는 원칙을 내세우고 있다. 가급적 브리핑은 짧게 하고, 기자들에게도 가급적 말을 하지 않으려고 한다. 반면 김 대변인은 ‘언론은 국정의 동반자’라는 입장이다. 기자들에게 가급적이면 정확하고 풍부한 설명을 해줘야 대통령의 뜻이 국민들에게 정확하게 전달될 수 있을 것이라는 얘기다. 김 대변인이 수석비서관들을 기자실로 이끌고 와 브리핑하도록 했던 것은 이 같은 인식을 반영한다.
이렇게 두 사람의 스타일이 다르다 보니 상대방에 대해서 좋은 평가를 내리기 어렵다. 윤 대변인에겐 김 대변인이 ‘너무 말을 많이 해서 화를 자초하는 사람’으로 비치는 반면 김 대변인에겐 윤 대변인이 ‘불통의 주역’으로 비친다. 두 대변인의 관계가 계속 주목을 받을 수밖에 없는 이유다.
이성로 기자 roilee@ily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