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메일을 살펴본 끝에 검찰은 414개의 트위터 계정을 확인할 수 있었고, 이중 키워드 분석과 역추적을 통해 국정원이 활용한 계정이 383개에 달하는 것으로 특정했다. 검찰은 이전에 구축한 데이터베이스에서 이들 계정이 올린 트위터 글 24만 건을 추려냈고, 이 가운데 선거, 정치 관여 글 5만 5689건을 골라냈다. 여기까지가 1차 공소장 변경을 하기까지의 과정이다.
2차 공소장 변경을 하게 된 계기는 국정원의 383개의 계정뿐만 아니라 2270개에 달하는 추가 계정을 지난 11월 초에 포착해냈기 때문이다. 383개의 ‘1차 계정’이 트위터 글을 올리면 2270개의 ‘2차 계정’이 봇 프로그램을 통해 이를 전파하는 식이었다. 검찰은 공판에서 “여러 계정을 동원해 반복해서 같은 글을 리트윗하는 것은 특정인의 의도적 작업이 분명하다. 일부 심리전단 직원은 검찰 조사에서 2차 계정의 사용을 시인했다”고 밝혔다.
검찰은 국내 빅데이터 업체에게 의뢰해 2270개의 계정이 퍼뜨린 트위터 글 ‘2200만 건’을 제출받았다. 그리고 이전 1차 계정이 올린 트위터 글과 2차 계정에서 퍼뜨린 트위터 글을 비교해 일치하는 것들을 추려냈다. 그렇게 2차 공소장 변경에서 제기된 트위터 글이 모두 121만 건이다.
문제는 검찰이 2200만 건에 달하는 트위터 글을 전부 분석하지는 못했다는 사실이다. 검찰은 “제한된 인력과 재판 일정상 2200만 건을 전부 조사해 선거, 정치 개입 글을 분류하는 게 현실적으로 곤란했다”며 “선택과 집중에 따라 383개 계정이 작성하거나 이 글을 리트윗한 121만 건을 먼저 기소했다”고 밝혔다. 즉 383개 계정에서 올린 글을 토대로 2200만 건에 트위터 글의 일치 여부만을 알아봤을 뿐, 2200만 건의 트위터 글이 추가로 어떤 계정과 연계되어 있고 어떤 내용인지는 전부 살펴보지 못한 셈이다. 검찰이 2200만 건의 글 중 현재까지 분석한 글은 약 5%에 정도에 해당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 같은 사실을 비춰볼 때 검찰이 2200만 건 트위터 글을 분석할 경우 국정원의 대선, 정치 개입 관련 글은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날 것이라는 예상이 이어지고 있다. 하지만 법원이 더 이상의 추가 공소장 변경을 받아들이지 않겠다고 한 만큼 현재 수사에서는 이를 규명하기가 현실적으로 어려울 것이라는 전망도 이어지고 있다. 결국 “‘특검’이 이뤄져야 방대한 트위터 글을 분석할 수 있지 않겠느냐”는 해석이다.
박정환 기자 kulkin85@ily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