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남권 지자체가 검토 중이거나 추진 중인 케이블카는 전북 남원시, 진안군, 광주동구, 전남 목포시, 영암, 구례, 해남군 등 모두 7개다. 현재 전국 국·도립공원에서 운행 중인 케이블카 9곳과 맞먹는 개수다.
최근 케이블카 설치 논란에 휩싸인 전북 진안 마이산도립공원 전경(사진출처=진안군). 아래는 현재 운행되고 있는 두륜산 케이블카.
현재 전남북에서는 국립공원 내장산(1980년), 덕유산(1996년)과 도립공원 대둔산, 두륜산, 여수 해상공원 등에서 각각 케이블카가 운행되고 있다. 새 검토지도 지리산, 월출산, 무등산 국립공원과 마이산 도립공원, 목포, 해남 해상 등 다양하다.
전북 남원시는 운봉읍 용산리에 케이블카를 건설하려고 공을 들이고 있다. 남원시는 애초 반선지구~반야봉(6.6㎞)을 사업지구로 신청했으나 4.4㎞ 구간이 자연보전지구에 들어있어 환경피해 시비를 넘지 못했다. 그러자 지난해 10월 운봉읍 허브밸리에서 바래봉까지로 노선을 아예 변경, 유치전에 다시 뛰어들었다.
진안군도 2019년까지 전액 군비로 마이산 북쪽 사양제 인근에서 남쪽 도장골까지 1.59㎞ 구간에 300억 원을 투입해 케이블카를 설치한다는 계획이다. 이를 위해 최근 마이산 케이블카 설치 타당성 조사를 위해 추경 예산 6000만 원을 편성했다.
전남 구례군은 지리산 온천관광지에서 종석대(차일봉)까지 3.1㎞ 구간에 군비 297억 원을 투입해 8인승 자동순환식 케이블카 38대를 투입한다는 계획이다. 군은 당초 산동 온천지구~노고단 4.3㎞ 구간을 고집했으나 3.1㎞로 축소했다. ‘반달가슴곰 보호구역’을 모두 피하고, 철탑도 원통으로 바꾸는 등 ‘친환경 케이블카’라는 점을 부각시키고 있다.
전남 영암군도 국립공원인 월출산에 케이블카 설치 재추진에 나설 기미다. 애초 계획했던 영암읍∼천황봉 구간을 최근 관광객 유치에 수월하고 경관이 좋은 천황사 방향으로 노선을 변경해서라도 추진하겠다는 의지를 보이고 있다.
무등산국립공원도 지산유원지와 무등산 정상 구간을 잇는 케이블카 설치를 광주시 동구가 조심스럽게 검토 중이다. 동구는 아시아문화전당 개관 이후 급증할 것으로 예상되는 방문객에게 볼거리를 제공하면서 지역 경제 활성화에도 도움이 될 것이라는 판단에 따라 케이블카 설치를 논의하고 있다.
해상케이블카 설치사업도 잇따라 추진되고 있다. 전남 목포시는 유달산과 고하도를 잇는 케이블카 설치사업을 1998년과 2008년에 이어 올해 세 번째로 재추진하고 있다. 지난달 타당성 검토 및 기본구상 용역 최종보고회를 갖고 국내 최장 해상 구간(750~800m)에 케이블카를 놓겠다는 의욕을 내보이고 있다. 해남군도 명량대첩 현장인 울돌목에 해상 케이블카 설치사업을 검토 중이다. 국내 굴지의 한 건설사가 250억 원을 들여 해남 우수영에서 진도타워까지 1.048㎞의 해상 케이블카를 건설하겠다고 제안한 것으로 전해졌다.
하지만 환경영향평가 통과, 환경단체의 반대, 지자체간 조정 등 넘어서야 할 산이 많다. 그동안 이 사업을 두고 환경단체 중심의 환경보전 논리와 지자체와 지방의회, 주민을 주축으로 한 지역개발·경제활성화 주장이 맞서고 있기 때문다. 최근 마이산 케이블카를 추진하고 있는 진안군은 사업을 둘러싼 찬반 논란으로 지역 사회가 둘로 쪼개지는 등 홍역을 앓고 있다.
지자체 간의 조율도 문제다. 환경부는 남원시·구례군에 2개 지역은 단일화해서 신청하라는 의견을 전달해 놓고 있다. 그러나 현재 구례군과 남원시는 케이블카 설치 단일화를 위한 합의점을 아직 찾지 못하고 상급기관인 전남·북도가 중재를 해 주길 바라고 있지만 이마저 여의치 않는 상황이다.
구례군 관계자는 “케이블카만이 지역발전의 대안”이라며 “마땅한 산업기반도 없고 인구가 감소하는 마당에 관광객이라도 많이 찾아 지역농산물을 사가게 하는 방법이 유일하다”고 토로했다.
전남 유일의 해남 두륜산 케이블카가 연간 이용객 30만 명에, 수익만 20억 원 이상 남기면서 효자 노릇을 톡톡히 하고 있는 것도 이들 지자체들을 자극하고 있다. 하지만 넘어서야 할 과제가 산적해 있어 실제 케이블카 설치 여부는 여전히 ‘미지수’다.
정성환 기자 ilyo66@ily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