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정호 UNIST 도시환경공학부 교수가 110동에서 캠퍼스를 배경으로 서 있다
[울산=일요신문] 송희숙 기자 = 대동여지도를 만든 조선시대 고산자 김정호가 현대에도 살아 있다면 국가로부터 어떤 표창을 받을 수 있었을까?
UNIST는 우리가 사는 땅의 모양을 파악하고, 곳곳에 어떤 것들이 있는지 정리하는 고산자라는 직업이 과거에도 있었다고 설명한다.
고산자 김정호는 두 발로 전국팔도를 다니며 지형지물을 기록한 대동여지도를 남겼다. 현대에는 IT기술과 인공위성, 인공지능 기술이 발달한 요즘에는 첨단도구로 온갖 지도를 그린다.
UNIST(총장 정무영) 도시환경공학부의 임정호 교수가 인공위성과 인공지능을 손에 쥔 현대판 고산자 같은 역할을 했다.
그는 인공위성을 활용한 원격탐사와 지리정보시스템(GIS) 모델링, 인공지능 기법을 활용해 국가공간정보 연구에 기여한 공로 ‘2017년 국토교통부 장관 표창’을 받았다.
임교수는 “미세먼지, 폭염, 가뭄, 산불 모니터링에 모두 ‘공간정보’가 필요합니다. 인공위성 자료와 인공지능 기술을 도입하면 예보나 예측의 효율을 높일 수 있어요. 앞으로도 관련 분야에 기여하라는 뜻으로 표창을 받은 것 같습니다.”라고 소감을 밝혔다.
임정호 교수는 2013년부터 위성자료와 과거의 기후관측 자료들을 결합해 현재와 미래의 가뭄 양상을 연구해왔다. 또 인공위성에서 실시간으로 미세먼지 양을 측정하는 연구도 진행 중이다.
2010년 발사된 우리나라 최초의 정지궤도위성, 천리안에 탑재된 센서에서 보낸 자료를 분석해 공기 중 에어로졸 양을 모니터링하고, 이를 통해 미세먼지 양을 파악하는 것이다.
임 교수는 “인공위성이 관측한 자료를 우리에게 필요한 정보로 가공하는 기술을 개발하고 있다”며 “위성자료에 기존 공간정보와 기상변수 등을 더하고 인공지능 기법으로 분석하면 미세먼지나 가뭄 같은 환경변화뿐 아니라 지질, 자원, 환경, 농업, 국토관리 등 다양한 분야에서 유용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고 말했다.
임정호 교수는 원격탐사에 인공지능 기법을 활용하는 분야에서 독보적인 인물이다. 인공위성 자료를 적절하게 활용하도록 컴퓨터 알고리즘을 개발해 실생활에 유용한 정보를 만드는 게 그의 특기다.
최근에는 폭염연구센터에 참여하면서 폭염의 조기예보에 인공지능 기법을 적용하는 연구를 시작했다.
그는 “인공지능 기술을 이용하면 위성으로 촬영한 수많은 데이터에서 일정한 규칙을 찾아낼 수 있고, 특정한 패턴을 통해 앞으로 일어날 일을 예상할 수 있다”며 “서로 다른 분야를 적절하게 연결시킨 덕분에 남들과는 다른 성과를 낼 수 있었다”고 전했다.
인공위성을 만들고 우주궤도에 올리는 일만큼이나 위성자료를 활용하는 기술도 중요하다. 특히 우리나라는 2018년과 2019년 2기의 정지궤도위성을 쏘아 올릴 계획이다. 그만큼 위성자료도 풍부해진다.
그는 “미세먼지나 폭염, 가뭄 같은 현상에 대해 위성자료를 적극 활용하여 예보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면 더 안전하고 편리한 삶을 살 수 있다”며 “우리나라에 부족한 인공위성 원격탐사 기반을 넓히고 더 많은 인재를 길러낼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앞으로의 포부를 밝혔다.
한편 2017년 국토교통부 장관 표창 시상식은 지난 8월 30일 서울 양재동 aT센터에서 열린 ‘2017 스마트국토엑스포’에서 진행됐다. 이 표창은 주로 공공 분야와 민간기업 등에서 국토발전과 공간정보산업에 기여한 사람을 선정해 주어진다. 임정호 교수는 공간정보 관련 학계의 추천을 받아 표창 대상자로 선정됐다.
ilyo33@ily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