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두산에서만 보고됐던 암석, 한라산에서도 분포
20일 제주도 세계유산본부에 따르면 이번 확인된 코멘다이트는 한라산 백록담 남서쪽 모세왓 일대에 길이 2.3km, 폭 500~600m, 두께 2~6m의 규모로 분포하는데 각진 암편들로 이뤄진 각력암의 형태로 산출된다.
이 지역은 각진 암편들이 널려 있는 것이 마치 모래밭과 유사하다고 해 모세(제주어로 모래)+왓(제주어로 밭)이라는 지명이 붙여진 곳이다.
화산암을 분류하는 기준은 다양하지만 일반적으로 규산(SiO2)과 알칼리 원소(Na2O+K2O)의 함량 비율을 기준으로 구분된다. 흔히 알고 있는 현무암이나 유문암도 이러한 기준에 의해 구분된 암석명칭이다.
일반적으로 제주도에는 현무암이 분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현무암에서 분화된 다양한 암석들도 분포한다.
산방산 조면암이나 한라산 조면암이 현무암질 마그마가 분화(진화)된 대표적인 결과물이다. 지금까지 제주도에는 현무암에서 조면암에 이르는 암석이 분포하는 것으로 알려졌으나 이번에 조면암보다 더 분화된 알칼리 유문암의 한 유형인 코멘다이트의 존재가 확인된 것이다.
‘코멘다이트’라는 암석명칭은 이탈리아 산 피에트로섬의 ‘리 코멘데’지역에 분포하는 알칼리 유문암에서 유래한 암석명이다. 1000년 전 백두산 대폭발 시 분출된 화산암이 코멘다이트에 해당한다.
지금까지 한반도에서는 백두산에만 분포하는 것으로 믿어져 왔던 암석이 한라산 높은 지역에도 분포하는 것이다.
이번 코멘다이트의 확인은 문화재청 지원으로 지난 2016년부터 2019년까지 진행되는 ‘한라산천연보호구역 기초학술조사 연구사업’과 세계유산본부 한라산연구부에서 자체적으로 추진되는 제주도 화산활동 기록 추적연구 과정에서 얻어진 결과다.
김창조 세계유산본부장은 “이번에 새롭게 확인된 코멘다이트는 한라산 정상부를 이루는 조면암이 지표로 분출하기 전 지하 마그마방에 머문 기간이나 시간이 지남에 따라 마그마가 어떻게 변화해 가는지를 밝히는 중요한 자료”라며 “앞으로 다각적인 연구를 보다 심도 있게 추진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ilyo99@ilyo.co.kr
-
제주도, 고수온.저염분수 유입...사전 감시 체계 강화
온라인 기사 ( 2021.06.24 11:42 )
-
도민사회 분열 조장...오영훈, 송재호, 위성곤의원 사퇴 촉구
온라인 기사 ( 2021.06.18 17:21 )
-
곶자왈공유화재단, 제8대 김범훈 이사장 선출
온라인 기사 ( 2021.06.24 08:4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