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성공단 관련 세미나 모습
[부산=일요신문] 박영천 기자 = 북한 개성공단이 늦어도 연내 재개될 것이라는 주장이 나왔다. 특히 개성공단 재개 시점이 유엔제재나 미국, 중국 등의 입장과 무관하게 우리 국민들의 강력한 지지 여부에 따라 앞당겨질 수 있다는 것이다.
개성공업지구지원 재단 김진향 이사장은 지난 9일 부산시청에서 마련된 그린닥터스 재단 주최의 ‘개성공단 재개의 필요성과 지방정부 역할’이라는 세미나에서 이 같이 밝혔다.
이날 세미나에서 김진향 이사장은 ‘평화와 번영의 상징-개성공단’이라는 기조강연을 통해 “남북경협 사업의 하나로 추진된 개성공단은 참여정부가 북측에 제안했으며, 퍼주기 등 북측에 시혜를 베풀어주려 한 게 아니라 거기서 우리경제의 활로를 모색하가 위한 프로젝트”라며 실제로 개성공단에 입주했던 기업들의 경영지표들을 통해 다른 공단에 비해 기업경쟁력의 비교우위를 제시했다.
개성공단에 입주한 신발제조업체 A사가 2015년 78억원을 투자해 65억원의 당기순이익을을 낸 데 반해 베트남 호치민에 진출한 신발제조업체 B사는 같은 기간에 199억원을 투자해 당기순이익은 13억원에 그쳐 수익률에 5배나 차이 났다고 구체적인 사례도 전했다.
김 이사장은 특히 일각에서 제기하는 개성공단의 퍼주기 등의 주장에 강력 반박한다. 일일이 통계자료를 제시하며 “퍼주기가 아니라 퍼오기”라고 말했다.
남측의 일자리를 북측에 빼앗긴다는 주장에 대해서는 상시적으로 구인난을 겪는 국내 사양산업과 한계기업, 중소·영세기업들의 일자리를 개성공단에서 창출했다고 말했다. 개성공단 근로자들의 임금이 핵무기나 미사일 개발자금으로 전용됐다는 주장에 대해선 “터무니 없는 거잣말”이라고 일축했다.
김 이사장은 “2004∼2006년 북한 근로자의 1인 임금은 6만 3천원, 2015년 15만원이었으며, 이는 중국이나 동남아, 러시아 등의 임금 3분의1∼6분의 1에 그친다”고 말했다.
또한 “2009년처럼 국제곡물가격이 폭등했을 땐 북측에서 쌀이나 현물 등을 요구해와 북측 근로자들의 임금을 핵무기 개발자금으로 빼돌렸다는 주장은 성립되지 않는다”고 밝혔다.
특히 김 이사장은 개성공단 사업 하나로 평화, 경제, 안보, 통일이라는 다단계 이점을 우리나라가 취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김 이사장은 패널토의에서 ‘개성공단이 언제쯤 재가동되느냐’는 질문을 받고 “개성공단은 늦어도 연내 재개될 것으로 본다”고 전망했다.
김진향 이사장은 “지금 북한에서는 조기에 개성공단을 재개하자고 요청하고 있다”며 “우리 역시 침체된 경제의 활로를 트기 위해 하루빨리 개성공단 재개를 서둘러야 한다”고 주장했다.
ilyo33@ily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