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라질 땅콩 현상’은 통조림통에 땅콩을 넣고 흔들면 ‘큰 것은 위로 작은 것은 아래’로 배열되는 현상을 말한다. 유난히 큰 브라질산 땅콩이 작은 땅콩들과 섞여 있을 때 발생하는 현상을 관찰한 결과 만들어진 것으로 1998년 미국 럿거스대학의 물리학자 트로이 신브롯 교수가 발표한 논문 ‘브라질 땅콩 효과’를 통해 세상에 알려지게 됐다.
이 이론을 알고 있는 로또마니아들은 로또공에 쓰인 숫자의 무게와 부피만큼 브라질 땅콩 효과가 생길 것이라는 믿음을 갖는다. “복잡한 숫자가 더 잘 나온다” “큰 숫자가 확률이 높다”는 등의 분석은 그래서 생긴 말. 만약 로또 추첨에 쓰이는 공 45개가 질량이나 부피가 조금이라도 다르다면 이 ‘브라질 땅콩 효과’는 한번쯤 믿어볼 만한 이론이 될 수도 있는 것이다.
그러나 실제로 로또 추첨에서는 이 효과를 기대하기는 어려워 보인다. 로또를 운영하는 세계 각국이 공의 무게와 부피를 엄격히 관리하고 있기 때문. 우리나라에서 쓰이는 로또공도 78g의 무게가 엄격하게 유지되고 있으며 매번 추첨 때마다 45개의 공 모두가 철저한 ‘계체심사’를 받고 있다. 게다가 주관사인 국민은행측은 혹시 공의 무게가 오차범위를 벗어날 경우를 대비해 4개의 예비 볼세트를 보유하고 있어 혹시 모를 사태에 대비하고 있다.
-
1등 당첨자 구입시간 분석
온라인 기사 ( 2004.09.20 00:20 )
-
이름으로 본 복권 명당
온라인 기사 ( 2005.02.20 00:20 )
-
별자리운으로 알아본 로또숫자
온라인 기사 ( 2004.11.21 00: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