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생활권 단위 삶의 질 지표 개발 및 농업경영체 정보 활용방법 제안
[안동=일요신문] 경북도가 최근 데이터 기반 농촌살리기를 모색하는 토론회를 열고, 본격적인 행정혁신에 나서고 있다. 도는 올해 초 통계에 기초한 과학적 행정 시스템 구축을 표방하며 ‘빅데이터담당관’을 신설했다.
경북도가 13일 대구경북연구원에서 ‘2020 농촌살리기 정책토론회’를 열고 있다(사진=경북도 제공)
13일 경북도에 따르면 이날 대구경북연구원에서 ‘2020 농촌살리기 정책토론회’를 열었다. ‘지역단위 통계를 바탕으로 한 과학적 행정시스템 기반 구축’이라는 주제로 열린 토론회는 농업경영체 데이터베이스의 효율적 활용과 생활권 단위지표 개발방안에 대해 논의했다.
도 관계자는 “읍면단위 생활권을 대상, 공공서비스기준을 설정하면 이를 기초로 합리적인 정책우선순위 결정이 가능하고, 농업경영체 DB를 활용하면 농가 유형별 맞춤형 지원 및 체계적인 사후관리가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이날 토론회는 이동필 경북도 농촌살리기 정책자문관을 비롯해 농업․농촌분야 통계 전문가 등 20여명이 참여, 실효성 있는 농촌정책을 발굴·추진을 위한 지역통계 활용방안에 대해 토론을 펼쳤다.
먼저, 이정우 경북도 빅데이터담당관이 도정 중요 데이터 및 핵심 지표를 선정해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이를 도청 내 공유 및 타 기관과의 연동 활용방안을 모색하는 ‘경북 데이터 생태계’를 조성할 것을 제시했다.
이어진 발표에서 성주인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삶의질 정책연구센터장이 읍면단위 삶의 질 지표 개발 및 활용 방안을, 이태호 서울대 농경제사회학부 교수가 농업경영체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한 농가별 맞춤 지원 방안을 제시해 참석자들의 관심을 끌었다.
종합 토론에서 박경아 농식품문화정보원 총괄본부장은 농업경영체 자료를 귀농귀촌자 맞춤형 교육, 농산물 유통관리, 보조금 사후관리 등 여러 부분에 적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하며, 사용자의 관점에서 공공데이터의 효율적 활용방안을 강구해 새로운 가치창출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할 것을 제안했다.
김태균 경북대 농업경제학과 교수는 농업 전반에서 빅데이터 개념이 상당부분 도입되고 있는 지금, 농업행정 역시 단순 통계의 차원을 넘어 의미있는 데이터의 생산을 위한 기반 준비를 서둘러야한다고 밝혔다. 그는 또 시군단위 기초자료의 생산 및 활용 수준이 낮아 정책결정에 현실반영의 한계가 있다고 지적하며, 투입산출분석 등을 통해 주먹구구식 의사결정의 한계를 극복해야 할 것을 강조했다.
이동필 경북도 농촌살리기 정책자문관은 “그동안의 정책이 소기의 목적을 달성하지 못했던 이유는 지역여건에 맞는 정책개발의 어려움과 비합리적인 집행에 원인이 있다. 한정된 자원의 합리적 배분과 효율적 이용, 질서 있는 집행과 사후관리를 위해서라도 데이터에 기반한 행정시스템을 구축해 나가야한다”고 조언했다.
경북도 김민석 미래전략기획단장도 “지역통계는 주민들이 행정에게 무엇을 원하고 있는지를 가장 정확하고 객관적으로 전달해주는 메신저”라며, “지역 내 데이터의 효과적인 생산·분석·활용 체계를 구축해 행정혁신은 물론이고 각 분야 미래전략에 활용할 것”이라고 밝혔다.
최창현 대구/경북 기자 ilyo07@ily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