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KBS 한국인의 밥상
군산 앞바다에는 47개의 무인도와 16개의 유인도가 무리지어 있는데 이를 고군산군도라 부른다. 경관이 아름답기로 소문난 이곳은 세종 때 수군부대가 있어서 군산도라 불렸는데. 수군부대가 옥구군 진포(지금의 군산)로 옮겨가면서 옛 군산이라는 뜻의 고군산군도가 됐다는 기록이 있다.
지금 고군산군도 앞바다는 긴장과 설렘으로 분주하다. 여름 내내 지속됐던 꽃게 금어기가 해제됐기 때문이다. 흔히 꽃게하면 봄이 제철이라 생각하지만 사실 봄에는 암게, 가을에는 수게가 제 맛이다.
가을 꽃게는 껍데기가 두껍고 단단하며 윤기가 흐르고 속이 꽉 차 살이 달다. 고군산군도 중에서도 무녀도를 찾아간다. 꽃게 조업하는 이들 가운데 유독 눈에 띄는 젊은 얼굴.
바다가 좋아 고향으로 돌아왔다는 최석현(35) 선장이다. 바다일은 위험해서 안 된다는 부모님의 반대를 무릅쓰고 꽃게잡이를 한 지 5년이 되었다고.
어머니 이강실 씨는 지금이라도 마음을 바꿔 섬 밖으로 나가 일했으면 좋겠다고 말하면서도 아들이 잡아온 꽃게로 그가 제일 좋아하는 꽃게장을 담가준다. 제철을 다시 맞이한 꽃게 밥상을 만나본다.
서천 홍원항은 아담한 항구지만 일 년 내내 갓 잡아온 수산물이 넘치는 곳이고 특히 9월이면 전어배들로 더욱 북적인다. 몸이 빠른 전어는 고전소설 ‘별주부전’에서 용왕의 말을 토끼에게 전하던 물고기였다는 설이 있다.
서유구의 ‘임원경제지’에는 “기름이 많고 맛이 좋아 상인들이 염장해 서울에서 파는데 귀천의 구분 없이 모두 좋아했다. 맛이 뛰어나 이를 사려는 사람이 돈을 생각하지 않았기에 전어(錢魚)라 했다”고 기록돼 있기도 하다.
봄에 산란한 전어는 9월부터는 겨울을 준비하며 온몸에 지방을 한껏 축적하기 시작하는데. 이때가 일 년 중 가장 맛있고 뼈조차 부드럽다 한다.
그러나 전어를 잡는 일은 그리 쉽지 않다. 전어떼는 움직임이 워낙 빨라 물때를 맞춰 나가도 쉽게 잡히지 않는단다. 그래서 전어잡이에는 반드시 두 척의 배가 필요하다.
속도가 빠른 4t짜리 어선이 전어떼를 앞질러서 그물로 휘감으면 10t급 운반선이 뒤따르며 도와야한다. 전어는 잡을 때도 속도전이지만 팔 때도 속도전이다.
성질이 급해 빨리 죽기 때문에 신선도를 유지하려면 활어운반차로 전국에 보내야 한다고. 전어조림, 전어회, 전어회무침, 전어구이까지 햇전어 밥상을 만나본다.
이민재 기자 ilyoon@ily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