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민속협의회 지정 요청에 문화재보호위원회 미존재에도 시 일방적 답변
거제는 나라의 운명이 바람 앞에 등불이 됐던 조선 임진왜란 때 이순신장군이 옥포해전에서 첫 승을 거둬 나라를 구하는 발판을 만들었고, 6·25동란 때에는 포로들을 수용하는 포로수용소를 만들어 전쟁을 이기는 발판을 만들었다. IMF때는 조선산업으로 부도에 빠진 나라를 구하는 데 일조한 곳이 바로 거제다.
두명의 대통령을 배출했으며 천혜의 자연환경을 가져 관광산업으로 발돋음 하는 곳이기도 하지만, 향토문화가 숨 쉬고 있는데도 이를 발전시켜 관광산업화시키지 못하는 아쉬움이 타 지자체와 비교된다.
삼국시대부터 시작하는 거제는 고려왕조뿐만 아니라 많은 조선의 지식인들이 귀향살이하던 곳으로 숨겨진 역사와 전해져 오는 유·무형 문화재도 많다.
시방깨발소리, 거제 영등오광대, 팔랑개 어장몰이, 칠진농악보존회 등 무형문화가 전해져 오지만 후학 양성 등 어려움으로 보전이 시급한 실정이다. 사라져 가는 우리의 향토문화는 우리의 삶의 발판이기에 계승 발전시키는 것도 우리의 책임이다.
이를 계승 보전하고자 하는 민속 예술인들이 더 이상 두고 볼 수 없다는 신념으로 거제시에 도움을 요청하기에 이르렀으나, 시는 ‘거제시 향토 문화재보호 조례’까지 만들어 놓고도 당연히 조직해야 할 '거제시문화재보호위원회'도 없어 순수하게 거제의 문화를 계승 발전시키는 민속예술인들의 마음을 아프게 하고 있다.
거제의 아름다움 문화를 지키기 위해 거제시전통민속협의회 일동은 최근 거제시에 건의문을 제출했다.
이들은 건의문에서 “시를 대표해 경남 및 전국민속공연에 참가해 수상하는 등 거제의 우수한 전통문화를 알리는데 최선을 다하고 있다”며 “민속 예술인들이 고령으로 문화를 계승하지 못하는 기로에서 거제의 자랑스런 얼과 문화를 다음 세대에 전할 길은 시가 향토문화로 지정해 계승 발전시키는 길만 있을 뿐이다”라고 말했다.
거제시 관계자는 이에 대해 “지자체 중 무형의 문화재를 지정한 경우는 없다. 이는 국가·도지정문화재로 지정을 추진해 지자체 예산 부담 완화 및 관리의 체계화, 문화·예술적 가치 향상 등을 동시에 도모하고 있기 때문으로 도지정 또는 국가지정문화재로 신청하는 것이 마땅하다”고 밝혔다.
하지만 시의 답변은 앞뒤가 맞지 않았다. '거제시향토문화재보호조례' 제13조(향토 문화재지정) 1항에는 '시장은 국가·도지정문화재로 지정되지 아니한 향토사적, 학술적, 예술적, 경관적으로 중요한 유적 및 자료에 대하여 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향토문화재로 지정한다'라고 적시돼 있기 때문이다.
거제시가 조례에 의거해 위원회를 거쳐 답변해야 하는데도 불구, 위원회의 심의조차도 이뤄지지 않은 채로 답변을 내놓은 것이다. 향토문화를 대하는 거제시의 자세가 그대로 드러나는 대목이다.
정민규 부산/경남 기자 ilyo33@ilyo.co.kr
-
[경성대] LINC 3.0 사업단, ‘2024 제2회 경성 창업캠프’ 성료 外
온라인 기사 ( 2024.12.11 16:46 )
-
[한국남동발전] 2024년 지속가능경영유공 산업부장관 표창 수상 外
온라인 기사 ( 2024.12.11 10:32 )
-
KR 한국선급, ‘메인엔진·발전기 최적 정비 위한 CBM 기술’ 개발
온라인 기사 ( 2024.12.12 00: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