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결국 2021년 할리우드 유명 스튜디오와 홍보 담당자들의 시상식 보이콧 선언이 이어졌고, NBC는 골든글로브 중계방송을 2022년까지 취소했다. 이에 HFPA는 직급을 다양화하고, 선물을 금지하고, 대가성 여행을 제한하는 등 개혁을 시작하고 전체 회원의 13%를 흑인으로 채우겠다는 약속도 했지만 2022년 제79회 골든글로브 시상식 역시 보이콧과 중계방송 취소로 시름했다.
TV 시리즈-드라마 작품상 부문, TV 시리즈-드라마 남우주연상 부문, TV 시리즈-드라마 남우조연상 부문 등 3개 부문 후보에 오른 ‘오징어 게임’도 보이콧 선언에 동참해 시상식에 불참했다.
그나마 제78회 골든글로브가 엄연한 미국 영화인 ‘미나리’를 대부분의 대사가 한국어라는 이유로 외국어영화상 후보로 분류해 비난을 받았던 데 비하면 ‘오징어 게임’을 3개 부문 후보로 선정한 것, 그리고 오영수에게 남우조연상을 안긴 것은 엄청난 변화다. 그럼에도 아카데미와 달리 골든글로브는 여전히 그 장벽을 뛰어 넘지 못한 것으로 보인다. 할리우드 주류의 보이콧이 2023년에도 이어질 전망이며 NBC 골든글로브 중계방송이 재개될지 여부도 불투명하다.

미국 드라마고, 백인들이 주로 출연하고, 남성 캐릭터가 중심인, 딱 골든글로브 입맛에 맞는 드라마다. 이정재가 후보에 오른 TV 시리즈-드라마 남우주연상 부문의 수상자 역시 ‘석세션’의 제레미 스트롱이다.
영화 ‘기생충’이 77회 골든글로브 시상식 외국어영화상을 받았을 당시 수상 소감에서 봉준호 감독은 “자막의 장벽, 1인치 정도 되는 장벽을 뛰어넘으면 여러분은 훨씬 더 많은 영화를 만날 수 있다”라고 말해 화제가 됐다.
오영수의 남우조연상 수상이라는 새로운 이정표를 세우긴 했지만 여전히 골든글로브는 1인치 정도 되는 장벽을 넘지 못하고 있다.
김은 프리랜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