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요신문] 제20대 대선 패배에 대한 책임을 지고 비대위 체제에 돌입한 더불어민주당 내에서 시작부터 잡음이 나오면서 우려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당내에서 윤호중 비상대책위원장을 반대하는 움직임이 감지되고, 이재명 전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를 비대위원장으로 추대하자는 서명 운동이 시작되면서다.
더불어민주당 윤호중 비상대책위원장이 3월 11일 오후 국회에서 열린 의원총회에서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대선 패배의 책임을 지고 더불어민주당 지도부가 총사퇴한 가운데 당 수습 방안을 논의하고있다. 사진=국회사진취재단 김두관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3월 12일 윤호중 비대위원장을 공개 반대하고 이 전 후보를 비대위원장으로 추대하는 내용의 서명 운동을 시작했다. 김 의원은 이날 페이스북에 글에서 “최소한 윤호중 비대위는 안된다”며 반대의 뜻을 전했다. 김 의원은 글에서 “익숙한 것과 결별하는 민주당의 혁신을 원하기 때문”이라며 “국민들은 민주당 당권주자 하면 떠올리는 이미지가 있다. 그 익숙한 이미지를 탈피하고 당을 쇄신해야 민주당의 미래가 열릴 것이라고 생각한다”고 전했다. 그러면서 김 의원은 “민주당의 혁신을 바라는 당원이라면 모두 반대해야 한다”며 “바뀌지 않은 뻔한 간판 지방선거는 물론 당도 망치게 될 것”이라고 우려했다.
앞서 김 의원은 같은 날 페이스북에 윤 원내대표에 대해 “위성정당을 만들 때 사무총장이었고, 제대로 된 개혁 입법 하나 통과시키지 못해 대선 패배의 원인을 제공했던 윤 위원장으로는 위기 수습과 지방선거 승리가 불가능하다”며 “윤 위원장은 의원들에게 위원장을 맡겨달라고 호소할 일이 아니라 국민께 사과하고 물러나야 한다”고 거세게 반발한 바 있다. 김 의원은 3월 11일 의원총회 발언을 통해서도 '윤호중 비대위' 출범을 반대하며 이 전 후보의 비대위원장 임명을 공개 요구한 바 있다.
한편 민주당 윤호중 비대위는 오는 13일까지 인선을 마무리 짓고 14일부터 현충원 참배를 시작으로 본격 활동에 들어갈 예정이다. 윤 원내대표는 박성준 민주당 의원을 비대위원장 비서실장으로 내정했고, 6월 지방선거 등을 대응할 막중한 역할을 맡게 된다. 하지만 당 일각에서 이 전 후보의 역할을 확대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오면서 한동안 여진이 계속될 것으로 전망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