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러한 기류는 박 위원장이 이끌고 있는 비대위원회를 향한 불만으로 표출되고 있다. 특히 박 위원장이 비대위원들에게 힘을 실어주면서 그동안 친박 핵심으로 분류됐던 몇몇 의원들 사이에선 이들을 견제하려는 움직임도 포착되고 있다. 한 친박 의원은 “비대위 발족 이후 박 위원장 측근으로 분류됐던 의원들 중 일부가 소외감을 느끼고 있다. 비대위 흔들기에 친박 일부가 동조하는 것도 이 때문”이라고 전했다.
또한 박 위원장 ‘싱크탱크’로 각광받으며 2010년 12월 출범한 국가미래연구원 역시 비대위원회와 ‘힘겨루기’를 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진다. 앞서의 친박 의원은 “우리보다는 국가미래연구원에서 더욱 절박함을 느낄 것이다. 지금까지는 정책개발 등에 있어서 국가미래연구원이 박 위원장과 통하는 거의 유일한 창구였지만 이제는 비대위원회와 경쟁을 하는 처지 아니냐”고 말했다. 실제로 최근 새누리당이 검토하고 있는 재벌개혁과 관련해 국가미래연구원 측은 박 위원장에게 “비대위원들이 제시한 방안들은 현실적이지 못하다”는 입장을 건넨 것으로 전해진다.
김종인 비대위원이 지난 2월 8일부터 9일까지 정책쇄신 분과회의를 ‘보이콧’한 것도 이러한 친박 내부의 ‘파워게임’이 수면 위로 드러난 결과라는 관측이다. 김종인 위원은 지난 2월 10일 박 위원장의 쇄신 의지에 대해서는 높이 평가하면서도 “주변에 있는 사람들이 문제가 있다”라고 말하기도 했다. 정치권에선 이러한 권력 갈등을 중재할 당사자는 박 위원장뿐이라는 데 의견이 일치한다. 이재광 정치컨설턴트는 “문고리 권력을 잡기 위한 마찰은 불가피한 측면이 있다. 다만 박 위원장의 독단적인 의사 결정 방식이 고쳐지지 않는 한 이런 현상은 빈번할 것이다. 박 위원장이 좀 더 개방적으로 소통을 해야 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동진서 기자 jsdong@ily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