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도>(실전진행) 흑1로 끊는 수가 준비되어 있었다. 백이 4의 곳을 잇지 않을 수 없을 때 흑5, 7로 수가 나고 말았다. 다음 백A면 물론 패가 되지만, 흑의 꽃놀이패인데다, 백은 팻감도 없다. 이 9단이 돌을 거두었다.
<3도> 흑1 때 백2로 끊으면? 흑3으로 내려가고 백4 때 흑5, 7로 잡혀 있던 아래 흑돌들이 우르르 탈출한다. 흑5 때 <4도> 백1쪽을 이으면 흑2, 4로 이번에도 역시 꽃놀이패.
사람들이 “김지석의 꽁수에 이세돌이 넘어갔다”고 좋아한 수가 <1도> 흑1이다. 글쎄. 꽁수라고 하기에는 너무 간단한 수여서, 그것 참. 이 9단이 그냥 부주의했던 것뿐일 텐데. 이 9단의 심기일전을 기대한다.
100년 만에 한 번은 어림없고, 1000년 만에 한 번이라면 혹 모른다는 것, 장생(長生)이 나왔다. 며칠 동안 바둑 온-오프라인에서 화제를 독점했다.
좌변 백이 1의 곳을 이으며 살았다. 생사가 패에 걸려 있었던 것. 흑2도 놓칠 수 없는 자리. 다음 좌상귀 흑집 속에서 3의 곳을 붙인 것은 뜻밖이었다. 둘 곳이 널려 있는데. 공이 울리자마자 대마가 패에 시달렸던 것을 설욕하고 싶었던 것인지.
<6도>(실전행) 흑1, 결과 여하를 떠나, 자체로 일단 기수-묘수의 형상이다. 하긴 흑1로 2의 곳에 호구치는 것은 자살 행위다. 백1로 몰면 흑은 3의 곳을 이어야 하니, 눈이 저절로 없어지는 것. 그러나 이것도 어쨌든 기분이 좋지는 않다. 백2면 흑3에 이어야 하고, 백4에는 흑5로 이어야 할 때 백6에 내려서면? 흑7로 둘 수밖에 없는데 백8로 먹여치면 이거 오궁도화 아닌가? 그런데 아아~ 여기서….
<7도> 흑2로 먼저 집어넣는 수, 이 자살수가 흑을 살린다. 어떻게? 다음 백은 A에 두어 흑▲와 흑2의 두 점을 따내야 하는데, 그러면 흑은 다시 ▲에 두어 백1과 백A의 두 점을 따낼 수 있고, 그러면 백은 또 1의 곳을 먹여쳐야 하고, 흑은 또 2 자리로 들이받고… ‘무한동형반복’이 되는 것. 어느 한 쪽이 양보하지 않는 한 바둑은 무승부가 된다.
지금 상황은, 흑의 입장에선 잡히면 너무 커서 양보하기 어렵다. 백은 부담은 적지만, 형세가 좋아 보이지 않는 상황에서 먼 길을 고생하며 가는 것보다는 그냥 무승부로 하는 것이 나을 수도 있다…^^ <7도> 백1로 먹여칠 때 ?
<8도> 흑1로 따내면 걸린다. 이번에는 백이 스스로, 2로 콱 메워 진짜 5궁도화가 되는 것. 그런데 사실 흑은 다른 길이 또 하나 있었으니 <5도> 백3 때…
<9도> 흑1로 한 걸음 물러서 눈 모양을 만드는 수가 좋았다. 이하 흑9까지 ‘빅’이 된다. 흑9 다음 백A면 흑B.
바둑은 다 끝나가고 있다. 끝내기도 이제는 젖히고 막는 것들만 남았는데, 아주 미세하지만, 아무래도 흑이 1집이나, 반집 차이로 덤에 걸리는 상황.
하변 흑1은 초읽기에 몰릴 때나 두는 수. 이게 반집 역전의 절묘한 복선을 깔고 있었던 것. 백은 다른 곳을 한참 둔 후에 둘 곳이 없어졌을 때 2에 이었다. 다른 곳이라고 해봤자 전부 한두 집짜리. 선후수 의미도 없었다.
백2로 이은 장면에서 흑은 A로 먹여칠 것이고, 그러면 이 부분 백집은 ×의 5집, 흑▲를 잡은 4집, 흑A로 먹여친 돌 1집, 합해서 10집. B의 곳은 집 아니다. C와 D, 두 곳을 다 이어야 하니까.
<11도> 흑1로 먹여친 다음, 3으로 자살골을 넣은 것이 묘수였다. 백은 A의 곳도, 5의 곳도 이을 수 없으므로 4로 수를 줄여야 한다. 그러자 흑5로 단수. 백은 B로 따낼 수밖에 없고, 따낸 다음 <12도> 흑1로 몰고 백2로 잇자 , 이 부분 백집은 ×의 5집과 따낸 돌 4개, 합해서 9집, 무슨 마술처럼, 1집이 줄어 있었다.
홍성지에게 반집 수모를 당한 김지석은 며칠 후 이세돌을 꽁수 아닌 꽁수로 넘겼다. 안성준은 자살골로 바둑사에 길이 남을 장생을 만들어 냈고, 홍성지는 자살골로 반집 역전 드라마를 연출했다. 먹여치기 환격 회돌이…, 자살골 동창들이다. 자살골에 묘수가 많구나.
이광구 객원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