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 15일 개표 상황을 지켜보던 단병호 당선자가 자신의 휴대폰을 보고 있다. 시사주간지공동취재단 | ||
이번 총선에서 민주노동당 비례대표 7번으로 금배지를 달게 된 강기갑 당선자는 최근 고민에 빠졌다. ‘현역 농부’인 강 당선자로서는 의정활동도 중요하지만 농사일도 미룰 수가 없기 때문이다. 실제 강 당선자는 “의정활동 중에 농사일을 할 시간은 있을까”라며 중앙당에 물어올 정도다.
민주노동당은 4월15일 총선을 앞두고 당소속 의원들의 세비와 관련된 정책 공약을 내놓았다. 현행 월 8백만원이 넘는 의원 세비를 당에서 모두 관리하고 그 중 일부를 ‘월급’으로 준다는 등의 내용이다. 1백80만원 정도가 될 것으로 전해진 이 월급은 도시노동자들의 평균 임금을 기준으로 만들어진 것. 여기에 의원의 나이·자녀 수 등을 감안해 차등지급될 계획이다.
중앙당 김종철 대변인은 “여러 가지 상황을 고려했을 때 나이가 제일 많은 권영길 대표가 가장 많이 받을 것”이라며 “그래도 다해야 2백여만원 정도가 아닐까 생각한다”고 말했다. 의원의 세비가 이 수준이다 보니 보좌진들의 월급도 이에 맞춰 조정될 전망이다. 중앙당 당직자들의 월급 수준 정도일 것이라는 게 대체적인 전망. 현재 민주노동당의 중앙당 당직자들은 1백만원이 채 안 되는 월급을 받고 있다.
김 대변인은 “의원 세비와 관련 단병호 당선자로부터 ‘항의’가 있었다”고 털어놨다. 단 당선자가 “자식을 대학에 보내야 하고 부인이 하던 야채가게도 장사가 안돼 문을 닫은 상황에서 그 돈으로 어떻게 생계를 꾸리겠느냐”며 ‘하소연’했다는 것이다. 김 대변인은 그저 “죄송하다. 어쩔 수 없다”는 말만 되풀이했다고 전했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상대적으로 일이 많을 것으로 예상되는 의회 활동에 일부이긴 하지만 당직자들이 참여를 꺼리는 현상마저 벌어지고 있다. 한 당직자는 “처음에는 의회활동을 원했는데 굳이 가서 고생만 할 필요가 있겠냐”며 “다른 사람들도 눈치를 보고 있는 것 같다”고 말했다.
최근 민주노동당 내에서는 현역의원의 당직 겸직을 허용할 것인가를 두고 논란이 한창 진행중이다. 의원단과 당을 구분함으로써 비판과 감시를 원활히 하자는 내용으로 시작된 이 논쟁을 두고 당내에서는 “너무한 규정이 아닌가”라는 불평마저 나올 정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