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요신문] 전업주부 남모씨(57세)는 몇 년 전부터 시큰거리던 무릎 통증이 요즘 들어 더욱 심해져 바깥 출입조차 꺼려진다고 한다. 특히, 계단을 오르내릴 때 무릎을 구부리는 자세를 취하면 통증이 더해져 약도 먹어보고 물리치료도 받아 왔지만 일시적으로 나아질 뿐 통증은 점점 심해졌다.
남모씨 처럼 퇴행성관절염이 병원을 찾는 중년 이상의 연령들에게 통증에 비해 연골 손상이 적으며 나이에도 비교적 영향이 적은 줄기세포 치료가 늘어나고 있다.
우리의 몸은 수만은 관절로 연결되어 있고 관절과 관절 사이에는 연골이 있어 관절 간의 완충역할을 하는데 나이가 들면서 관절을 보호하는 연골이 닮거나 찢어지면서 손상되거나 뼈와 인대 등에 염증과 통증이 발생하는 질환이 퇴행성 관절염이다.
특히, 쪼그려 앉은 자세로 일하거나 양반다리로 앉아 생활하는 시간이 많은 한국인은 무릎에 가해지는 충격이 더 강해 무릎 퇴행성 관절염 발병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난다.
퇴행성관절염이 발병하면 무릎이 뻣뻣해지고 욱신거리거나 쑤시는 증상 때문에 걷거나 계단을 오르는 등 평범한 동작도 힘들어지고 증상이 심해지면 가벼운 움직임에도 통증이 오고 무릎이 붓고 열이 나기도 한다 연골이 거의 닳아 없어져 관절의 뼈끼리 맞닿으면서 통증은 더욱 심해져 움직임이 없을 때에도 무릎에 통증이 느껴지는 것은 물론, 밤에는 통증으로 잠을 제대로 잘 수 없고 통증 외에 무릎관절의 변형으로 ‘O’자형 다리가 될 수 있다.
증상에서도 알 수 있듯이 관절염은 연골 손상의 정도에 따라 증세가 심해지므로 치료의 핵심은 무릎연골 손상을 방지하는 것 이다 하지만 한번 손상된 연골은 자연적으로 치유 될 수 없다 보니 그 동안 손상된 연골이 더 이상 악화되는 것을 늦추는 방식의 치료를 시행했다.
가장 최근에 개발된 치료법은 인공관절수술로 현재까지 퇴행성관절염의 근본적인 치료법으로 알려져 있지만 이 수술은 연골이 닳아 없어진 상태에서 행해지는 마지막 치료법으로 인공관절의 수명의 한계가 있어 비교적 젊은 사람들에게는 사용하기 어렵다는 것, 아주 심하게 손상된 관절염에만 사용되기 때문에 그 이전에 고생하는 환자들에게는 사용할 수 없다는 단점 있다.
최근 인공관절 수술의 한계를 극복하고 손상된 연골을 재생하여 퇴행성관절염을 근본적으로 치료 할 수 있는 줄기세포를 이용하여 연골을 재생하는 치료법이 개발되어 관절염 치료의 새로운 장을 열고 있다.
줄기세포 치료는 크게 두 가지 방법이 있는데 자가골수 줄기세포 치료는 환자의 엉덩이뼈에서 골수를 채취해 손상된 연골에 주입하는 방법으로 시술시간도 30분 이내로 짧고 하루만 입원하면 일상생활이 가능하다. 다만 15세 이상 50세 이하 환자와 연골손상 범위가 작은 경우에 시행할 수 있다는 한계가 있다.
또 다른 방법은 신생아의 제대혈에서 추출한 성체줄기세포를 배양하여 환자의 무릎 연골에 주입하는 방법으로 연골손상이 크고 50세 이상인 환자에게도 시술 할 수 있으며 시술시간도 짧아 일상생활로 복귀가 빠르다.
최정근 원장(제일정형외과병원)은 “관절내시경을 이용해 시술하기 때문에 상처부위도 작고 피부를 절개하지 않아 감염의 위험도 없다”며, “두 치료법 모두 복지부나 식약처에서 안정성과 유효성을 인정 받아 부작용 우려는 없으나 시술 후 관절에 무리가 가는 활동을 당분간 자제해야 하고 본래의 운동량을 회복할 수 있게 꾸준한 재활훈련도 병행해야 한다”고 밝혔다.
온라인 뉴스1팀 ilyo22@ily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