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씨는 성완종 전 회장의 사면 로비는 두 정권에 양다리 로비를 해 성공한 케이스였다고 설명했다. 당시에는 진보에서 보수 쪽으로 권력이 통째로 바뀔 때라 양측 모두에 줄을 대려는 세력들이 그 어느 때보다 많았다고 한다. 성 전 회장의 경우도 노무현-이명박 정권 모두에게 줄을 대 성공한 케이스였다는 것이다. 그는 한 가지 예를 들었다. A 씨는 이에 대해 “성 전 회장의 경우 노무현 정권 때는 당연히 줄을 대고 있었고 MB가 될 거 같으니까 당연히 그쪽으로도 줄을 대러 온 거 아니겠는가. 천하의 로비스트인데. 당시 노무현 정권의 유력 후원자였던 B 회장도 실세 C 씨를 통해 우리(MB) 쪽에도 줄을 대려고 많이 노력했다. 그래서 한번은 내가 실세 C 씨를 찾아가서 ‘B 회장이 위험한 행동을 많이 하니까 거래하시면 안됩니다’라고 정중하게 말했다. C 씨가 나에게 ‘B 회장 그런 사람 아니니 너무 그러지 마세요’라고 하더라. 이렇듯 정권 교체기에 양측의 줄대기 양상은 어쩌면 당연한 것이었다”라고 말했다.
그렇다면 성 전 회장이 양 정권을 오가며 구체적으로 로비를 했던 대상은 누구일까. A 씨는 노무현-이명박 정권에서 가장 확실한 실세라인일 것이라고 추측한다. 그리고 이 라인은 권력 이양기에서 일종의 ‘다리’ 역할을 하는 비선이었다는 것이다. 대선을 전후해 정치권 일각에서는 노무현-이명박 정권을 잇는 정권 실세들의 핫라인이 존재하고 있다는 얘기가 돈 적이 있었다. 대선이 끝나고도 존재했다고 알려진 이 라인이 노무현-이명박 정권의 ‘협의’가 필요한 사면 작업에서도 작동하지 않았겠느냐는 게 A 씨 설명의 요지다.
A 씨는 이에 대해 “성 전 회장은 MB 캠프 멤버도 아니고 비서출신도 아닌데 노무현 정권에서 ‘노’ 하면 그만이다. 그런데 당시 노 정권 측에서도 쉽게 거절하지 못할 만한 민감한 위치의 핵심실세로부터 ‘오더’를 받았기 때문에 법무부 반대에도 불구하고 사면을 해준 것으로 본다. 그 인물이 밝혀지게 되면 지금의 문재인 대표로서도 상당히 곤혹스러울 수 있다. 이명박 전 대통령 측에서도 이런 노무현 정권의 아킬레스건을 알기 때문에 공개적으로 노무현 정권 책임론을 얘기하는 것 아니겠느냐”라고 말했다.
하지만 이렇게 사면에 대한 책임이 노무현 정권 측에 있었다고 해도, 정두언 의원 설명처럼 권력 이양기에 양 정권이 사면을 협의하는 것은 당시 용인되는 ‘정치적인 예의’라는 점에서 보면 이명박 정권도 책임론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 그리고 그 로비가 성공하는데 이명박 정권의 또 다른 핵심 실세가 개입됐을 가능성이 크다. 그리고 그는 노무현 정권과도 핫라인을 유지하며 ‘얘기’가 잘 통하는 거물급 인사라는 게 앞서의 A 씨 설명이다. 인수위 시절 핵심적인 역할을 했던 A 씨가 ‘노무현-이명박’ 정권의 핫라인이 사면 로비 의혹의 핵심일 것이라고 주장하는 만큼 향후 이 부분에 대한 검증도 필요해 보인다.
성기노 기자 kino@ily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