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안=일요신문] 정성환 기자 = 고령화와 저출산에 따른 인구 감소로 2040년에는 광주·전남 읍·면·동 3곳 중 1곳 이상이 소멸할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이에 따라 전남도 차원의 지속가능 대책기구 마련이 시급하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5일 전남도의회 우승희 의원이 공개한 ‘지방소멸 가능성에 따른 지역 공공서비스 개선방안’ 연구결과에 따르면 광주 95개 동 중 34곳(35.8%), 전남 297개 읍·면·동 중 98곳(33.0%)이 2040년 소멸 가능지역으로 분류됐다.
범위를 2040년 이후로까지 넓히면 광주 18곳, 전남 144곳이 추가로 대상에 포함돼 광주·전남 392개 읍·면·동 중 294곳(75.0%)이 소멸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연구는 광주전남연구원 김대성·신동훈 책임연구위원이 수행했다.
광주와 전남, 각 읍·면·동의 인구 감소, 가임여성 변화율, 고령화율을 토대로 기준을 설정해 인구 감소를 유발하는 3개 기준을 모두 충족하면 2040년 소멸가능 지역, 2개 조건을 충족하면 2040년 이후 소멸가능 지역으로 분류했다.
연구진은 도시공간 구조를 집약화해 공공시설을 재배치하는 도시기본계획을 세워야 한다고 주장했다.
광주대도시권은 공간구조 압축성 측정을 의무화하고 생활거점은 고령화에 대비해 의료·복지 기능을 한데 모으면서 생활거점 간 대중교통을 연결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목포·여수·순천 등 지방중심도시와 그 밖의 농·산·어촌 지역도 특성별로 공간구조를 재편하는 방안이 제시됐다.
이날 도정질문에서 우 의원은 “고령화가 가장 빨리 진행되고 있는 전남이기에 정부가 손 쓸 때까지 기다리면 늦다”며, “고령화와 저출산 관련 대책과 시범사업을 전남도가 고민하고 먼저 추진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우 의원은 “지방소멸 경고에 대비하는 종합대책을 마련하기 위해 시민사회, 전문가, 연구자, 공무원, 교육청 등이 참여하는 도차원의 ‘지속가능기구’나 ‘TF’ 구성하자”고 제안했다.
ilyo66@ily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