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구시장 다변화, 합리적 소비, 소비 성향 다양화 등이 원인
관세청에 따르면2016년도 해외직구 수입은 1,739만 5000건에 16억 3000만불 규모로 전체 수입 규모(4,061억 달러)가 ‘15년 대비 7% 감소했음에도 해외직구는 증가했다.
해외직구가 상승세로 전환된 주요 요인은 중국․유럽 등으로 직구시장 다변화와 국내물가 상승에 따른 합리적 소비, 소비 성향 다양화 등인 것으로 분석된다.
국가별로는 미국(65%) 이 가장 많고 다음이 유럽(15%), 중국(8%), 일본(6%), 홍콩(3%) 순이었다. 미국이 가장 높은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으나, 비중은 점차 축소되는 추세로 지난 2013년 75%에서 ‘14∼’15)년 73%, 지난해는 65%로 감소한 반면, 유럽의 비중은 점차 확대돼 ‘13년 7%에서 ’14년 8%, ‘15년11%, 지난해 15%로 증가했다.
또 2013년 13%에서 ‘15년 5%까지 감소했던 중국의 비중도 ’16년에는 8%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은 2016년에 ‘15년 대비 반입건수 기준 3%, 수입금액 기준으로는 4% 각각 감소했으나, 중국과 유럽 등은 건수 및 금액 모두 전년 대비 큰폭으로 증가해 미국 중심의 직구시장이 유럽과 중국 등으로 다변화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발 해외직구가 급증한 데는 일상 생활에서 주로 사용하는 보조 배터리 등 소형 전기용품과 완구류가 ‘15년 8만 4000건에서 ’16년에는 6배 이상 증가한 51만 4000건 반입된 것이 주요 원인으로 분석된다.
품목별로는 건강식품이 가장 많고 다음이 화장품, 기타식품 , 의류, 신발, 전자제품 순이었다.
‘15년에 이어 지난해도 건강식품(20%)이 가장 많이 수입되었고, 화장품(16%), 기타식품(14%), 의류(12%), 신발(8%), 전자제품(7%) 순으로 이들 품목이 전체의 약 75%를 차지했다.
전자제품이 42만 4000건에서 117만 4000건으로 177% 증가했고, 건강식품은 260만 5000건에서 350만 6000건으로 35% 증가, 화장품은 181만 3000건에서 242만 9000건으로 34% 증가했다.
반면, 그간 해외직구수입의 주요 품목인 의류․신발․핸드백은 10% 이상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국내에서 구매하던 전자제품이 중국 기술력 발달 및 가격경쟁력의 영향 등으로 수요가 증가하였고, 건강과 개성을 중시하는 소비 성향 변화로 건강식품․화장품 반입도 증가한 것으로 보인다.
국가별 주요 반입 품목은 미국에서는 건강식품(27%), 유럽에서는 화장품(33%), 중국에서는 전자제품(23%), 일본에서는 캔디, 초콜릿 등 기타식품(14%)이다.
관세청은 올해에도 해외직구물품의 신속․정확한 통관을 지원하는 한편, 마약류 및 국민안전 저해 불법물품 반입 차단을 위해 검사를 강화하는 등 최선의 노력을 기울일 계획이다.
smyouk@ilyodsc.com
-
충북도, 코로나19 심신치유 초중고 학생 승마체험 신청 받아
온라인 기사 ( 2021.03.04 08:43 )
-
청주 낭성면 주민 "초정~보은간 송전선로 건설 중단하라"
온라인 기사 ( 2021.03.02 18:06 )
-
청주시향 단원 포함 충북 코로나19 13명 확진…누적 491명
온라인 기사 ( 2020.12.10 19: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