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창규 대전대학교 한의예대 학장
[대전=일요신문] 육심무 기자 = 요즘 며칠은 꽃샘추위가 우리 몸을 움츠리게 하지한 봄은 꽃소식과 함께 절정을 향해 치닫기 시작되었다. 이쯤에 황사와 함께 찾아오는 불청객 중 하나가 춘곤증이다. 특별한 질병이 없이도 많은 사람들이 봄철에 느끼는 노곤한 피로감이라고 하여서 춘곤증(春困症)이란 한다. 춘곤증의 증상과 치료 등에 대해 대전대 한의과대학 손창규 학장에게 물어 정리해 봤다.
주요 증상
공연히 몸과 팔다리의 나른함과 주로 오후에 졸음이 쏟아지는 것을 느끼는 것이 가장 흔한 증상이다. 특히 실내에서 근무하는 사람들이나 강의실의 학생들 운전을 하시는 분들 중에는 졸음과 한바탕 전쟁을 치르기도 한다. 어떤 이는 식욕 부진, 소화 불량, 집중력 저하, 현기증, 눈의 피로, 불면증 등의 증상을 심하게 호소하기도 한다.
왜 생기는가?
봄은 지팡이를 꽂아도 싹이 돋는다는 생명의 계절이다. 이를 한의학에서 발생지기 (發生之氣)가 가장 완성한 시간이라 표현한다. 하지만 춘곤증을 느끼는 사람들의 신체는 아직 이러한 자연이 리드하는 봄의 기운에는 아직 미치지 못하는 것이다. 즉, 춘곤증은 인체의 신진대사 기능들의 역량과 자연환경이 요구하는 에너지 사이의 불균형이 나타나는 것이다.
이러한 불균형의 뿌리에는 아마도 우리 인류의 역사적 흔적이 숨어 있을 것이다. 즉, 하얀 눈과 꽝꽝 얼은 대지뿐이고 나무엔 과일도 없으며 음식을 저장하는 방법도 몰랐을 아주 까마득한 옛날에는 사람들도 동물처럼 겨울을 잠을 잤을 것이다. 따라서 겨울에는 최소한의 대사량으로 저장된 영양분을 절약하는 전략을 사용하였으며, 춘곤증을 호소하는 사람들에게는 햇빛의 질이나 양은 분명 아침이건만 인체의 시계는 아직 새벽이라 하겠다. 춘곤증을 잘 느끼게 하는 다른 요인들도 있을 수 있다.
겨울 동안에 체중이 증가하거나 운동량이 극히 적었던 사람, 과도한 스트레스에 노출되었거나 밤늦게 까지 컴퓨터 작업 등을 많이 하는 사람, 평소 햇볕에 노출되는 양외 활동이나 운동은 부족하면서 두뇌활동을 지나치게 하시는 분들, 음주량이 많거나 평소 편식이 심하신 분들, 당뇨나 대사증후군 혹은 만성 기능성 소화불량증 등의 질환을 앓는 분들이 춘곤증을 많이 호소한다.
치료법은?
우선 하루 7시간 이상의 충분한 수면이 필요하다. 낮에는 많이 졸다가 밤에 잠이 오지 않는다고 늦게까지 TV나 컴퓨터 앞에 오래 있게 되면 악순환이 반복된다. 이런 경우는 저녁식사 후에 샤워를 하고 싶을 만큼 적당히 운동을 하여 땀을 내보길 권해드린다. 특히 낮에 졸린다고 너무 많은 잠을 자거나 커피, 혹은 카페인 음료를 자주 마시는 것은 독이 되기 쉽다.
스트레칭이나 가볍게 땀을 흘릴 수 있는 운동이 필요하다. 낮잠보다는 햇볕을 쪼이는 양을 늘리면서 산책과 체조를 하거나 눈과 머리를 지압하여 몸을 풀어주는 것이 좋다. 아침을 비롯한 규칙적인 식사와 더불어 비타민과 무기질의 보고라 할 수 있는 봄철의 나물과 야채, 과일을 많이 먹는다. 봄철에는 신진대사가 활발해지면서 평소보다 비타민 소모량이 3∼5배 필요하다. 우유와 달걀, 생선 등 단백질이 풍부한 음식도 권장되는데, 반대로 과음과 편식은 춘곤증의 적이라고 하겠다.
춘곤증의 증상이 유달리 심하신 분들은 일반적으로 비위의 기 (氣)를 올려주는 간단한 처방으로도 쉽게 해결할 수 있으나, 대부분의 춘곤증은 2-3주 내에 저절로 개선되니 걱정하지 않아도 된다. 간혹 충분히 휴식을 취한 후에도 피로감이 약 4주 이상 지속된다면 다른 원인을 의심해봐야 한다. 유달리 심한 피로감과 함께 뇌의 기능 약화와 두통 혹은 근육통과 같은 증상이 동반된다면 전형 차원이 다른 질환인 만성피로증후군을 의심해볼 수 있으며, 심한 지방간을 비롯한 대사증후군, 간염, 우울증, 빈혈, 갑상선 질환 등과 같은 질환도 감별 진단을 하여야 한다.
smyouk@ilyodsc.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