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일요신문] 하용성 기자 = 정경진 전 부산시행정부시장[사진]은 오는 23일 오후 3시 신라대학교 종합강의동에서 열리는 한국지방정부학술대회를 통해 청년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청심환 해법’을 정책으로 제시한다. 청심환은 ‘청년들의 마음을 환하게 만들자’란 의미가 담긴 낱말이다.
이날 정 전 부시장은 전문가 토론 통해 현장의 목소리를 듣는다. 토크쇼는 한세억 동아대사회복지대학원장의 사회로 이뤄지며, 관련 전문가들이 토론에 참여한다.
박은숙 여성정책연구소 부소장, 김상현 동아대학교, 교수, 김찬석 리더스경제신문 편집위원, 박종훈 더불어민주당 부산시당 청년위원회 위원장, 박희정 부산의 미래를 준비하는 사람 대표, 안재모 열정포럼 의장 등 6명이 참석해 청년일자리를 비롯한 청년문제 해소에 관한 다양한 토론이 이뤄진다.
앞서 정경진 전 부시장은 청년문제의 근본적 해법으로 블록체인기술을 적용한 ‘청년행복센터 구축 및 운영방안을 제시해 주목을 받았다.
이에 이어 밝힌 청심환 해법은 보다 구체적이고 실천적인 방법론으로 풀이된다. 정 전 부시장은 대회에 앞서 지난 21일 배포한 자료를 통해 ‘청심환 해법’의 실행방법에 대해 설명했다.
먼저 정 전 부시장이 밝힌 ‘청심환 해법’은 부산지역에 거주하는 청년의 마음을 환하게 만들기 위해 청년을 위한 사회안전망이자 제도적 보장 장치로서 청년행복센터의 구축을 제안한다.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하는 청년행복센터는 부산지역에 거주하는 청년이면 누구든지 자신의 삶에 관한 문제와 고충, 관심사항 등을 한 곳(One-Stop)에서 24시간 365일 멈춤 없이(Non-Stop) 원하는 것을 필요에 따라 맞춤식으로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수요자 참여형 복지제도이자 서비스장치다.
청년개인의 상황과 형편에 따라 카페테리아식으로 운영되며, 부산지역 16개 자치구·군별로 1곳(구청 또는 접근이 용이한 공간)을 지정해 청년의 삶(진로·건강·복지·자기관리 등)에 관한 표준화된 업무(상담·조사·정보제공·지원기능 등) 및 절차를 온·오프라인 방식으로 제공한다.
부산지역에 거주하는 청년을 대상으로 희망자에게 멤버십 ID를 발급, 관심 및 희망사항을 등록해 블록체인 기반(비밀보호, 경험공유, 정보 및 상담제공)의 청년네트워크를 구축·운영하는 등 국내 및 세계 최초의 블록체인 기반 센터로 운영된다.
센터 구축을 위한 소요예산(소극적 관점의 추산)은 인건비, 시설 및 운영, 시스템구축 등을 감안해 초기연도에 센터 당 30억 원으로 추산하는 경우, 총 480억 원의 투입이 필요할 것으로 예상된다.
정 전 부시장은 청년행복센터와 연동되는 청년행복 케어 패키지로 청년구직촉진수당의 도입과 실업급여로 대표되는 고용안전망의 확대 및 고용관행의 개선도 제시했다.
취업성공패키지로 대표되는 중앙정부의 청년 니트 정책의 목표와 추진방식을 전면 개혁하고, 청년수당으로 대표되는 여러 지방정부의 정책성과를 수용·통합·조정해 통합적인 청년 안전망을 갖춰야 한다는 복안이다.
특히 정 전 부시장은 여기에는 대학·지방정부·중앙정부 차원에서 난립하는 취업지원기관의 연계 운영과 정책 전달체계에 대한 정비가 필요하다고 보고 있다.
정경진 전 부시장은 “청년행복센터가 공유기반 청년정책 및 청년참여를 활성화해야 한다. 자치구·군 별로 청년행복센터의 설치과정에서 청년의 다양한 욕구조사 및 해소뿐 아니라 참여기관들의 활발한 시책정보 및 사업을 공유, 홍보하는 채널로 기능하도록 함으로써 부산지역 청년문제해결의 거점 역할로 삼아야 한다”고 말했다.
지방은 물론 중앙의 관련부처가 연계를 한층 강화해야 한다는 점도 강조했다. 각 센터의 One-Stop 서비스의 역할과 기능은 자치구의 특성 및 지역청년의 수요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각 유형별로 지역사회 청년네트워크 모델로 개발하고 활성화 방안을 도모해야 한다는 주장이다.
정 전 부시장은 청년(시민)참여기반 솔루션의 지속적 발굴이 요구된다는 생각도 나타냈다. “청년문제 해법 찾기 위한 시민참여 플랫폼 상설 운영하고 시민의견을 실시간으로 수렴해 정책에 반영해야 한다”고 말했다.
ilyo33@ily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