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루킨-6 항체와 GM-CSF 항체를 투여했을 때 종양 크기 및 전이가 감소함을 확인할 수 있다.
[대전=일요신문] 육군영 기자 = 암세포는 자신을 둘러싼 종양 미세환경을 자신에게 유리하도록 조절하는 능력을 가지고 있다.
종양 미세환경이란 암 조직 주변의 다양한 세포들과 세포외기질, 사이토카인, 키모카인, 성장호르몬 등을 총칭하는 것으로 암세포는 세포들 간의 신호 교환(crosstalk) 과정을 통해 자신의 세력을 넓힌다.
일종의 대화라고 볼 수 있는 이 과정은 세포끼리 접촉하여 이뤄지기도 하고, 접촉하지 않고 수용성 인자를 분비해 이뤄지기도 한다.
심지어 암세포를 공격해야 하는 대식세포도 종양 미세환경에서는 암 성장과 전이를 돕기 때문에 암 전이를 촉진시키는 교환 신호를 규명하는 것은 암 전이의 억제를 위해 중요한 과제였다.
그러나 종양 미세환경을 구성하는 인자들은 매우 다양하고 세포가 분비하는 수용성 인자의 종류가 매우 다양하며 아직까지 암세포의 교환신호의 대한 연구가 미비했다.
다런 윌리엄스 교수<좌>와 정다운 연구교수<우>
광주과학기술원의 다런 윌리암스 교수와 정다운 연구교수연구팀은 암세포에 의해 섬유모세포에서 분비되는 특정 신호물질이 급증하고, 그 중에서 인터루킨-6과 과립구 대식세포-콜로니 자극인자(GM-CSF)가 협동적으로 종양 촉진성 대식세포를 증가시킨다는 것으로 세포 사이의 신호 교환에 의한 암 전이 촉진 과정을 규명했다.
정다운 연구교수는 이 연구가 “암세포, 섬유모세포, 면역세포의 핵심 신호 교환 인자를 규명하여, 암 전이 억제 전략의 새로운 비전을 제시했다”고 연구의 의의를 밝혔다.
다런 윌리엄스 교수는 “향후 항암 치료는 암세포 뿐 아니라 종양 촉진성 대식세포를 억제하는 것이 중요할 것”이라며 ‘또한 대식세포가 종양 촉진성 표현형으로 변화되는 것을 억제하기 위해서는 종양 미세환경의 섬유모세포를 제어하는 방법이 효과적일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 연구 성과는 국제학술지 임상 암 연구(Clinical Cancer Research) 6월 29일에 논문명 ‘Cancer-stimulated CAFs enhance monocyte differentiation and pro-tumoral TAM activation via IL-6 and GM-CSF secretion’으로 게재됐다.
ilyo08@ily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