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공기에서 인공강우를 위해 인공비 씨앗을 뿌리는 장면. 사진=기상청
문재인 대통령은 수도권에 엿새째 미세먼지 비상저감조치가 발령된 지난 6일 정부 부처에 “중국에서 오는 미세먼지의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중국 정부와 협의해 긴급대책을 마련하라”고 지시했다.
문 대통령은 그 일환으로 중국과 인공강우와 관련한 협력을 강화하라고 강조했다. 문 대통령은 “인공강우 기술협력을 하기로 한·중 환경장관회의에서 이미 합의했고, 인공강우에 대한 중국 쪽의 기술력이 훨씬 앞선 만큼 서해 상공에서 중국과 공동으로 인공강우를 실시하는 방안을 추진하라”고 역설했다.
인공강우란 구름은 형성돼 있지만 비를 뿌릴 수 없을 때 인위적으로 기상 여건을 바꿔 비가 내리는 효과를 얻는 것이다. 인공강우는 그동안 주로 가뭄을 해소하기 위한 목적으로 연구됐지만 최근에는 중국과 태국 등에서 미세먼지 저감 목적으로 활용되고 있다.
인공강우 원리는 구름층에 ‘인공비 씨앗’을 뿌려 수분을 생성하는 것이다. 인공비 씨앗으로 사용된 물질은 인체에 유해하지 않은 요오드화은이다.
하지만 아직까지 인공강우는 ‘현대판 기우제’에 그치고 있다는 지적이 전문가들로부터 나오고 있다. 전문가들은 인공강우로 비를 뿌리는 것도 어렵지만 미세먼지를 말끔하게 씻어낼 만큼 강한 비를 만드는 것은 현시점에서 불가능에 가깝다고 지적한다. 미세먼지 저감 효과가 충분히 나타나려면 시간당 10mm 이상의 강한 비가 2시간 이상 지속돼야 하는 것으로 전해진다. 비용도 만만치 않다. 결정입자용 원소로 쓰이는 요오드화은이다. 귀금속 ‘은’의 화합물이다. 이를 허공에 뿌려 비를 내리게 한다는 것이다.
문재인 대통령이 인공강우 협력 강화 대상으로 지목한 중국은 이 분야에서 세계 최고의 기술력을 가진 것으로 평가 받고 있다. 중국은 가뭄이 잦은 티베트 지역과 봄철 황사와 미세먼지 저감 대책 일환으로 인공강우를 실시하고 있다. 그러나 아직까지 이러한 인공강우 실험에서 얻은 객관적이고 유의미한 연구 결과 발표 등을 찾아보기 어려운 것도 현실이다.
지난 1월 25일 환경부와 기상청은 중국발 미세먼지 차단을 위해 전남 영광군에서 110 km 떨어진 인공강우 실험을 했지만 강수량은 0mm로 실패했다. 기상청은 지난 달 결과 발표에서 “인공강우 실험 이후 장산도를 포함해 일부 섬에서 이슬비 수준의 비가 감지됐다. 기상 레이더를 통해 하층 구름(지상 2 km 이하에 발생하는 구름)이 발달한 것이 확인됐다. 하지만 실험의 핵심이었던 내륙에선 강우가 관측되지 않았다. 실험 당시 내륙의 대기가 건조해 강우입자가 증발했기 때문이다”라고 설명했다.
정부는 이런 희박한 가능성에서도 올해 14번의 추가 인공강우 실험을 할 계획이다. 정부의 이러한 시도는 고질적인 미세먼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 중 하나로 추진되는 것으로 보면 무리가 없어 보인다.
장익창 기자 sanbada@ily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