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박만우 대전문화재단 대표 “대전에 민속공연 전용 상설공연장 만들고 싶다”
- 대전에는 문화 관련 독립 기관이 하나도 없어…
특히 무형문화 전수학교와 청춘마이크, 대전철도마을의 이야기 등 시민의 문화공간 확장을 위한 문화예술 소재들을 지속적으로 발굴하고, KAIST와의 연계를 통해 예술과 과학기술을 접목해 대전만의 문화산업을 창조하는 야심찬 시도를 하고 있다.
대전문화재단이 설립 10주년을 맞아 박만우 대표이사를 만나 대전문화예술의 현재 상황과 미래 발전 방향 및 계획 등에 대해 들어본다.
- 먼저 지난 10년간 대전문화재단의 대표적인 활동과 성과를 간략히 설명한다면.
“지난 10년을 추이를 보면 즐기는 문화예술에서 참여하는 문화예술교육으로 확장되고 있다. 처음에는 학교에 예술강사를 파견하는 것으로 시작했던 사업이 이제는 유아, 장년, 노년층까지 자연스럽게 확장되어 생애주기별 문화예술교육이라 불리고 있다.
이러한 예술교육은 대전문화재단이 가장 자신있는 분야인데 작년에도 43개교에서 교육을 진행했고, 올해도 굉장히 많은 학교에서 신규 신청해 교육청과 협의하여 신중하게 선발하고 있다.
교육의 내용도 기존의 예술, 문학, 미술, 무용뿐만 아니라 장르와 매체를 넘나드는 융합형 예술교육으로 확장하고 있다.”
대전문화재단 박만우 대표이사
- 예술인 지원 사업과 향후 계획은?
“원도심의 일부 소극장이 있으나 예술인이 거점으로 활용하는 공연장등의 거점이 굉장히 열악하다.
미술에선 갤러리가 될 것이고 예술에서는 공연장이 될 것인데 이러한 공간은 물질적 토대의 생태계이다. 우리는 청년문화기획자나 청년예술가들의 창작지원뿐만 아니라 상시적인 활동이 가능한 공간지원과 문화예술 경영지원도 하고 있다. 경영지원이라 하면 쉽게 말해 작품의 유통 배급 판매를 책임지는 갤러리, 공연기획사 등을 예술인들과 매치시켜주고 직접적인 판매활동을 할 수 있는 유통망을 마련하는 것이다.
문제는 대전의 경우 예술의 문턱이 높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많아서 이러한 시장이 없다. 그러나 시장이 없으니 수요가 없다고 볼것이 아니라, 문턱을 낮추고 잠재적인 시장을 개발하는 것이 더 중요하다고 본다.
그래서 향후 도입해보려는 것이 미술직거래시장이다. 예를 들어 대흥동에서 나가있는 청년작가들을 위해 중앙에 있는 미술경영지원센터의 도움을 받아 보다 친숙하게 소비자와 작가들을 연결시키는 사업을 준비하고 있다”
- 예술의 수요자인 관객, 시민과 소통에 관해 어떤 구상을 가지고 있는지.
최근 생활문화 분야가 커지고 있다. 소비자였던 사람들이 스스로 크리에이터라 말할 정도이니 이제 누가 공급자도 소비자인지 나누기가 어려워지고 있는데 예술분야도 마찬가지다.
다른사람이 만든 문화를 감상하는데 그치지 않고 직접 만들고 향유해나가며 사회통합적인 모습을 보이고 있는데 대전문화재단에서는 대표적으로 마을합창단과 꿈의 오케스트라가 있다.
마을합창단은 동네에서 있던 어르신들이 모여 혼자 음악을 혼자 즐기지 말고 다같이 공유하자는 차원에서 시작된 사업이다.
동네에서 있던 어르신들이 트로트만 좋아한다고 생각할수도 있는데 그건 큰 오산이다. 그분들은 연주회에 참가해 무대에 서고 화음을 맞춰나가며 즐거움을 얻고 계신데 각 자치구마다 균형을 맞춰나가며 유지하고 있다.
꿈의 오케스트라는 동네마다 있는 센터에 아이들을 모아 열악한 환경의 아이들에게 문화예술의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모든 악기를 자체적으로 대여해주고 지휘자와 파트별 전문연주가를 파견해 선생님이 되어 공연도 하고 교육도 진행한다. 이게 5년차가 되어가니 서울에서도 벤치마킹을 올 정도로 체계가 잘 잡혔고, 대덕구에 한 학생은 이번에 음대를 진학했는데 그게 우리에게는 큰 기쁨이었다.“
- 대전은 문화예술의 특성이 없고, 지역의 이미지도 없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
”대전에는 문화 관련 독립 기관이 하나도 없다. 독립 운영기관이라는 것은 바로 나랏돈이 들어와서 운영한다는 뜻이다.
김해문화재단은 인원만 150명이고 부천문화재단은 70명, 용인은 150명 규모다. 청주에만 해도 비엔날레 전용관이 있고 광주도 문화전당이 있지만 대전은 각 구 문화원에 딸린 작은 강당이 하나 있는게 전부다.
대전이 행정 도시로서 일찍부터 중앙부처가 내려와 있었는데 그런 부분에서 오히려 역차별 대상이 되지 않았나 싶다. 또 대전 의원들중에는 문화체육관광위원회 상임위원회 소속 의원이 한 분도 안 계신다. 예전에 조승례 의원이 교육이랑 문화가 같이 붙어 있었던 교육문화상임위 시절에 잠깐 계셨는데 하반기 쪼개져 나갔다.
대전에 고유 브랜드로서 무엇을 하든 우리는 모든 일을 중앙부처와 해야 하는데 일 처리에 있어서 비효율적인 부분이 많다.“
- 향후 장기적인 목표는
”향후 대전에 민속공연 전용 상설공연장을 만들고 싶은 야심이 있다. 대전문화재단만의 운영관리하는 센터가 있다. 전통문화진흥팀이라 해서 자체적으로 가지고 있는 기능인과 예능인을 보존하고 지원하는 것이다. 송씨네 종갓집 며느리의 요리교실, 해금만들기, 매사냥 등 다양한 무형문화유산을 공유하고 소통해나가고 있다.
이번에 중앙정부에서 문화비전 2030을 추진하면서 문화도시 지정계획을 발표했다. 도시가 문화적으로 어떻게 바뀔지에 대한 계획서를 제출하고 앞으로의 실현성있는 로드맵을 제출하면 500억을 정부예산을 5년간 받는다. 그런데 광역시에서 실행계획을 가지고 있는 곳이 한곳도 없고 포항, 부천, 김해 이런 기초단체에서는 굉장히 적극적으로 시도하고 있다.
대전의 역사와 문화자원을 콘텐츠화해서 아젠다를 설정하고 로드맵을 제시할 것을 구상하고 있다.
물론, 문화지정위원회와 관련 조례안이나 등도 마련해야 해서 유관기관과의 협력이 절실한 상태이며 아직 가야 할 길이 멀다. 이렇듯 시작은 미미하나 결과는 창대할 것으로 생각한다.“
ilyo08@ily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