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일요신문] 박영천 기자 = 지난 10년간 개봉한 한국영화를 전수조사 해 본 결과, 한국영화의 남성 편중 상황이 예상보다 훨씬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영화진흥위원회 산하 한국영화성평등소위원회에서 진행 중인 ‘한국영화산업 성평등 정책 수립을 위한 연구’ 중간발표 내용에 따르면 지난 10년간 개봉한 한국영화 총 1,433편에서 여성 제작자 비율은 11.2%, 프로듀서는 18.4%, 감독은 9.7%, 각본은 17.4%, 촬영은 2.7%로 나타났다.
여성의 비율이 가장 낮은 직종은 조명으로 1.4%였으며, 여성의 비율이 남성보다 높은 직종은 의상(83.1%)과 분장(89.3%) 뿐이었다. 여성의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다고 알려진 편집과 미술의 경우에도 각각 36.0%와 39.5%로 다른 직종에 비해 높기는 했지만 여전히 남성의 비율이 높았다.
지난 10년간 전반적으로 여성의 비율이 뚜렷하게 상승한 분야는 없었으며, 거의 모든 직종의 여성비율에 큰 변화를 찾아볼 수 없었다.
▲여성영화인의 경력 전개 양상, 전형적인 ‘뒤집혀진 깔때기’ 모양
현재 여성영화인의 경력을 감독 중심으로 살펴보면 뒤집혀진 깔때기 모양의 경력 전개 양상을 보인다. 2018년 대학교 연극영화과 입학생의 여성비율은 59%지만, 영화진흥위원회가 운영하는 한국영화아카데미(KAFA) 입학생의 여성비율은 30.4%이고 국내 3개 국제영화제(부산, 전주, 부천)의 한국영화 상영작 중(회고전 등의 특별전 제외) 여성 감독 영화 비율은 27.8%에 불과하다.
지난해 개봉영화 164편 중 여성 감독 영화는 20편(12.3%)이지만, 10억 또는 최대 스크린 100개 이상의 영화 77편중에서는 9명(11.7%), 순제작비 30억 이상 영화 40편 중에서는 단 1명(2.5%)으로 감소한다.
작년년 영화진흥위원회 극영화장편제작지원작 22편중 여성감독 영화는 11편으로 50%이고, 장편다큐제작지원작 22편 중 5편으로 22.7%이다.
참고로 지난해 대학교 연극영화학과 전임교수 여성비율은 29.1%이며, KAFA 책임 교수 중 여성비율은 0%이고 외부강사의 여성비율은 33.3%였다.
▲2009년~2018년 10년간 흥행 50위 영화의 캐릭터 분석
지난 10년간 전체 흥행순위 50위 영화 총 468편을 대상으로 캐릭터 분석을 해 보았다. 10년간 여성 주연 영화의 비율은 24.4%이고, 남성주연영화의 비율은 75.6%를 기록했다.
10년 간 크레디트의 등장인물 순서에 따른 주연 1과 주연 2가 모두 남성인 경우는 45.1%로 전체 영화의 절반 가까이를 차지했다. 그동안 남성들이 주연을 맡은 영화가 지배적이었다는 사실이 수치로 증명됐다고 할 수 있다. 반면 주연1과 주연2를 모두 여성이 맡은 영화는 8.3%에 불과했다. 참고로 10년 간 여성감독 영화는 6.2%였다.
10년간 벡델테스트 벡델테스트(Bechdel test)란 영화의 성차별, 성불평등을 알아보기 위해 고안된 것으로 다음 세 가지의 항목으로 이뤄진다. 참고로 2016년은 흥행 50위 영화 내에 여성감독 영화 비율과 여성주연 영화 비율이 가장 높은 해이기도 했다.
제 1 또는 제 2 주연을 맡은 인물의 연령대를 분석한 결과, 여성은 20대가 39.7%로 가장 많았고, 그 다음으로 30대가 31.9%를 차지했다. 남성은 30대가 42.9%로 가장 많았고, 40대가 32.2%를 기록했다. 주연 인물의 경우 여성이 남성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연령대로 설정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주연인물의 결혼 비율은 여성이 35.4% 남성은 37.3%이며, 죽거나 실종되는 경우는 여성이 19.1%, 남성이 24.9%였다. 예상과 달리 남성이 오히려 죽거나 실종되는 경우가 많았으며 이는 차후 더 상세히 분석해봐야겠지만 한국흥행영화가 연인, 가족, 국가를 위해 희생하는 남성영웅의 드라마를 선호한다고 짐작해볼 수 있다.
한편 여성인물(주조연)과 남성인물(주연)의 서사동기를 “자아찾기, 로맨스, 우정, 모성/부성, 가족, 국가, 구출, 모험, 성공, 정의, 생존/생계, 복수, 범죄, 수사, 기타”로 나눠 분석해 본 결과 여성인물은 로맨스가 21.7%로 가장 높았으며 가족(14.8%), 생존/생계(11.4%), 성공(10.7%) 순으로 드러났다.
남성 역시 로맨스가 18.6%로 가장 높았으며, 성공(14.9%), 가족(11.9%), 수사(10%) 순의 결과를 보였다. 흥미롭게도 여성과 남성 모두 제일 많이 기록된 서사동기는 로맨스였지만, 여성의 경우에 그 비율이 훨씬 더 높고 그 다음 가족으로 기록된 반면, 남성의 서사동기 비율은 모두 고른 수치를 보였다.
여성의 경우 로맨스와 가족 드라마에 편중된 경향이 있는 반면 남성의 경우 특정 장르에 편중되기 보다는 다양한 장르로 나타나고 있음을 짐작할 수 있다.
▲‘제2회 한국영화 성평등정책 포럼’에서 보다 자세한 연구결과 발표 예정
이상의 내용을 포함한 보다 상세한 연구결과는 오는 10월 5일 제24회 부산국제영화제 기간 중에 개최되는 ‘제2회 한국영화 성평등정책 포럼’에 참석하면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이번 포럼에는 연구결과 발표와 함께 현장에서 활발하게 활동하고 있는 여성 스태프 좌담회도 같이 열릴 예정이어서, 앞으로 성평등한 한국영화계를 만들어 나가기 위한 진지한 논의의 자리가 될 예정이다.
장소는 부산 동서대학교 센텀캠퍼스 609호 강의실이며 시간은 오후 2시부터 시작된다.
ilyo33@ily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