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KBS 한국인의 밥상
천혜의 얼굴을 가진 바람의 고장 제주도 한경면. 이곳에서 태고의 맛과 향기를 지키며 살아가는 어멍들.
깊은 바다에 숨겨진 보물 같은 맛과 넓은 숲속에 감춰진 추억의 한 상. 제주어로 버무리고 바람에 담아 완성하는 질박한 자연의 맛을 만나다.
태고 자연의 맛을 그대로 간직한 땅 한경면. 바람이 많아 이곳을 지키고 살아가는 이들에게는 모진 곳이었지만 그 속에서 나누고 절약하며 누구보다 지혜로운 밥상을 차릴 수 있었다.
절약 정신을 뜻하는 제주도 말 조냥 정신. 음식에 조냥 정신이 빠질 수 없다. 냉장고가 없던 시절 쉰밥을 아껴가며 만든 음료 쉰다리, 메밀 최대 산지인 제주에서 즐겨 먹었던 제주식 수제비 조베기, 이 음식을 나눠주는 아이가 왕이 된다는 말이 있을 정도로 인기가 많았던 ‘몰망묵적(모자반메밀적)’까지.
이번 한국인의 밥상에서는 태고 제주도의 맛과 향기를 만난다.
바닷바람과 함께 무르익은 고산1리. 한경면 앞바다에서 물질하는 해녀들의 삶은 녹록지 않았다. 모진 바람이 물질과 농사를 모두 방해했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제는 추억을 싣고 오는 바람을 웃으며 맞이할 수 있게 됐다는 김임생 씨.
그녀는 시집온 뒤 이름도 나이도 같은 고임생 씨와 만나 금세 친구가 됐다. 함께 물질하고 밭에 나간 세월이 50여 년. 모진 세월을 건너 서로의 보물이 된 두 사람. 누가 먼저랄 것 없이 서로의 밭에서 일을 돕고 서로의 집에 오가며 함께 밥을 먹는다.
‘저승에서 번 돈을 이승에서 쓴다’는 말이 있다. 숨을 참고 물에 들어가는 건 저승에 가는 것만큼이나 힘들다는 어멍들. 늘 어렵게 공수해오는 오분자기와 소라로 꼬치구이를 만든다.
이외에도 직접 잡은 보말로 만든 보말조베기(보말수제비)부터 최상의 궁합을 자랑하는 갈치와 호박을 넣어 끓인 달큰한 국까지. 어려웠던 시절의 가르침을 잊지 않은 어멍들의 조냥 정신(절약 정신)이 담긴 밥상을 만나본다.
곶자왈을 품은 한경면 저지리. 제주도에는 용암이 분출하며 만들어진 독특한 지형인 곶자왈이 곳곳에 분포한다. 숲을 뜻하는 ‘곶’, 덤불을 뜻하는 ‘자왈’.
이곳 원시림을 맨몸으로 가꾼 밀림의 부녀가 있다. 아버지 이형철 씨와 딸 이지영 씨는 숲을 가꿀 때 합이 가장 잘 맞는다. 나무와 돌이 서로를 의지하며 살아간다는 ‘돌은 낭의지, 낭은 돌의지’라는 말처럼 이형철 씨와 그의 가족들도 지난 세월 곶자왈과 닮은 모습으로 살아왔다.
직장생활을 하던 이형철 씨는 뇌경색으로 몸을 가누기 어렵게 되자 퇴직한 뒤 이곳을 가꾸기 시작했다. 지영 씨도 하던 일을 그만두고 아버지 곁으로 와 일을 도왔다. 버려졌던 숲을 가꾸며 자연스레 몸도 마음도 치유가 됐다는데. 곶자왈에 부녀가 있다면 부엌에는 아내 문은자 씨가 있다.
그녀는 주로 아픈 남편의 음식을 만들다 보니 간이 약하고 자연의 맛에 충실한 제주도의 옛 음식들을 자주 만들게 됐다.
문은자 씨가 즐겨 만드는 제주도 음식 중 하나는 몰망묵적(모자반메밀적)이다. 메밀 최대 산지인 제주의 메밀을 사용해 만든다. 제주도는 육개장을 끓이는 방식도 독특하다.
잔치에 온 모든 이들에게 건더기를 공평하게 나눠주기 위해 고사리와 돼지고기를 으깨서 넣는다. 문은자 씨의 또 다른 특기 음식은 바로 남편이 제일 좋아하는 양하 무침이다. 그리고 그와 찰떡궁합인 제주식 두루치기까지! 아픈 남편 덕에 건강한 제주 음식 지킴이가 된 가족 그들의 생명 밥상을 만난다.
이민재 기자 ilyoon@ily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