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산시청 전경.
[양산=일요신문] 양산시가 추진하던 공공배달앱 개발이 최근 중단됐다. 지자체 공공배달앱 개발이 잇달아 보류되거나 중단되는 등 난항을 겪는 가운데, 무용론마저 나온다.
공공배달앱 개발은 ‘배달의 민족’ 수수료·독과점 논란으로 촉발됐다. 많은 지자체들이 개발에 나섰으나 저가형 민간배달앱의 잇단 출시와 서비스 제공 한계로 인해 진행에 난항을 겪고 있다.
양산시도 공공배달앱 자체 개발을 중단하기로 결정했다고 지난 22일 밝혔다. 양산시는 민간배달앱의 높은 수수료로 인해 어려움을 겪는 외식업계를 위해 김일권 시장의 지시에 따라 지난 4월부터 공공 배달앱 개발에 나섰다.
양산지역 6천900곳의 외식업체를 대상으로 1~2%의 가맹점수수료를 받아 운영하고 기존 신용카드나 체크카드 외에 양산사랑상품권, 각종 페이 등 다양한 결재수단을 연계하려 했지만 현실 앞에 무릎을 꿇었다.
실제 양산시가 벤치마킹하려던 군산시의 ‘배달의 명수’는 이용자수가 4월 6만8천 명에서 최근 급격히 감소하면서 8월에는 2만6천 명으로 3분의 1로 줄었다.
다른 지자체도 상황은 비슷하다. 서울시는 앱을 별도로 구축하지 않고, 기존 운영 중인 민간배달앱 7개 업체를 모은 ‘제로배달 유니온’을 출범하는 방식으로 규모를 축소했다. 경남 창원, 진주 등 배달앱 개발에 나선 지자체들도 운영·관리의 한계로 잇달아 개발을 중단했다.
근본적으로 공공배달앱은 시장경제에서 민간배달앱보다 경쟁력이 떨어지고 시스템 유지·보완에 있어서도 신속성이 부족해 소비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서비스에 한계가 있다는 분석이다.
소비자 할인혜택도 없고, 잦은 서버다운 등 시스템 오류 및 관리 소홀로 운영관리비가 증가하는 악순환이 겹치는 것도 문제점으로 지적된다. 공공배달앱 무용론이 나오는 이유다.
하용성 부산/경남 기자 ilyo33@ily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