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 문화재 총 2229점(국가지정 806, 도지정 1423)으로 늘어
- 경주 2건, 상주 4건, 청도 2건, 고령 1건
[안동=일요신문] 경북도는 최근 열린 도문화재위원회(동산분과)에서 경북도 유형문화재 7건과 문화재자료 2건을 20일 자로 지정했다고 20일 밝혔다.
이번에 지정된 9건의 문화재는 시군에서 자체 검토해 신청한 비지정문화재 가운데 도 문화재위원들의 현장조사를 거쳐 지난 동산분과 회의시 도지정문화재 지정대상으로 선정됐다.
도에 따르면 지난 8월 30일부터 30일간의 문화재 지정예고로 이해관계자들로부터 의견을 수렴하고, 이번 최종 심의 후 고시를 통해 확정됐다.
# 도 유형문화재 7건
'경주 최진립 신도비'는 병자호란때 전사한 최진립(1568~1636)의 업적을 기리기 위해 1740년에 건립된 비석이다. 신도비 석역 및 제작에 대한 관련기록이 남아 있어 의의가 클 뿐만 아니라 귀부·이수의 문양과 조각 기법 또한 ‘태종무열왕릉비’를 포함한 신라 석조미술의 영향을 받은 귀중한 자료로 평가된다.
'경주 최진립 정려비'는 병자호란 시 청군과 맞서 싸우다 전사한 최진립의 공적을 기리기 위해 1707년에 향리 마을 입구에 세워진 1313자 규모의 비석이다. 충의당, 용산서원, 신도비 등과 마을 구역 내에 함께 있어 숭렬(崇烈)의 의미를 잘 보여줄 뿐만 아니라 이수형 개석과 복련의 하대석은 경주 소재 비석 중에서 희귀한 자료로서 가치가 있다.
'상주 전식종가 소장 고문서'는 상주 지역에서 수백 년에 걸쳐 세거한 사서(沙西) 전식(全湜, 1563~1642) 종택의 소장 문서이다. 전식은 서애 류성룡과 여헌 장현광의 문인으로, 1603년 식년문과에 급제해 1640년 지중추부사 등을 역임하고 사후(死後) 좌의정에 추증돼 상주 옥동서원에 배향됐다. 고문서 69점은 1603년부터 1697년에 발급된 유지, 교지, 녹패 등으로 상주 지역 전식 가문을 이해하는데 매우 중요한 자료다.
'상주 전식초상 일괄'은 조선 중기 영정 양식으로 제작된 전신교의좌상으로, 함께 신청한 반신상의 초본을 기초로 이모된 초상화다. 17세기 공신 도상의 양식을 잘 보여주며, 초본과 같이 남아 있어 자료적 가치가 크며, 초상화를 보관하는 나무함 2점도 조선후기 전통 짜임 방식으로 제작된 것으로 자료적 가치를 지닌다.
'상주 전식조복 및 공예품 일괄'은 조복과 공예품으로 구성 돼 있는 17~19세기의 자료이다. 전식조복은 상태가 양호하지는 않으나 조복 홍의와 훈상, 대대 외에 패옥, 아홀 등 12종의 구성물 중 5종이 함께 소장돼 있는 국내 최고(最古)의 전세 유물로 출토복식에서는 볼 수 없는 당시의 실제 색상을 유추할 수 있다는 점에서 중요한 자료이다.
'청도 장연사 목조보살좌상 및 복장유물'은 복장에서 발견된 발원문을 통해 조각승 인균(印均)을 비롯한 6인의 조각승에 의해 1643년에 제작된 불상임을 알 수 있다. 불상에 대한 조성자, 제작연대에 대한 문자 기록이 잘 구비돼 있고, 작품의 예술성도 높으며, 17세기 중반 전라도 지역 불상의 상황을 잘 보여주는 불상으로 가치가 있다.
'몽산화상 육도보설'은 일체유심조의 입장에서 지옥·아귀(餓鬼)·축생(畜生)·아수라(阿修羅)·인간(人間)·천상(天上)의 육도(六道)와 성문(聲聞)·연각(緣覺)·보살(菩薩)·불(佛)의 사성(四聖)을 합한 10계를 설해 범부의 자리를 벗어나 성인의 지위에 들어갈 것을 권하는 내용으로 편찬한 선가(禪家)의 지침서이다. 비교적 이른 시기인 1565년 판본으로, 판본 간의 비교나, 서체, 인쇄출판사뿐만 아니라 시주자 명단과 각수(刻手) 등이 명시돼 있어 조선 전기의 불교학 및 서지학 등의 연구에 매우 귀중한 자료이다.
# 문화재자료 지정 2건
'상주 청죽 성람 묘갈'은 성람의 사후 80여 년이 지난 1702년 이후에 세워진 묘갈이다. 성람(成灠, 1556∼1620)은 의료 지식을 갖춘 주목할 만한 인물로서, 1599년 임란 이후 향촌민들의 질병을 치료하기 위해 존애원 설립 등에 크게 기여했다. 이 비의 내용은 문집 및 파보 등에 전하고 있어 새로운 역사적 사실을 전하는 것은 아니지만, 비갈 인물의 중요성, 설립시기, 미술사적 의미가 있다.
'고령 지산리 석조여래좌상'은 고령군 대가야박물관에 전시돼 있는 불상으로 항마촉지인을 결하고 결가부좌한 형식의 석조여래좌상이다. 신체 비례와 양감 표현이 통일신라시대 중기에서 후기에 유행한 항마촉지인 불상의 전형적인 특징을 보여주며 조형성이 뛰어난 불상이다.
이와 같이, 문화재적 가치가 인정돼 도 유형문화재 및 문화재자료로 각각 지정됐다.
이로써 경북 문화재는 총 2229점(국가지정 806, 도지정 1423)이 됐다.
한편 경북도는 이번 도문화재위원회(동산분과 4차)에서 구미 대둔사 아미타불회도 1건을 유형문화재 지정대상으로, 경주 남산 탑곡 제1사지 마애조상군, 예천 명봉사 목조보살좌상 등 2건을 문화재자료 지정대상으로 선정했다.
지정대상으로 선정된 3건의 문화유산은 도보 게시 등 지정예고 절차를 거쳐 내년 차기 문화재위원회에서 지정여부를 확정한다.
김상철 경북도 문화관광체육국장은 "비지정문화재를 지속해서 발굴하고, 이미 지정된 문화재에 대해서는 활용방안을 다방면으로 모색하고, 우수한 도지정문화재를 국가지정문화재로 승격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최창현 대구/경북 기자 cch@ilyodg.co.kr
-
고양시 덕이동 '데이터센터 건립' 주민과 갈등 확산
온라인 기사 ( 2024.11.20 18:26 )
-
경기북부 철도 교통 대변혁…'수도권 30분 생활권 시대' 다가온다
온라인 기사 ( 2024.11.28 11:29 )
-
인천시 숙원사업 '고등법원 설치' 가시화
온라인 기사 ( 2024.11.28 11: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