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영길 서울 출마 선언 후 계파전쟁 2라운드…국민의힘 컨벤션 효과·정의당 출마 시 고전 가능성
최고 권력은 뺏겼지만, 지방권력 싸움에선 선전할 수 있다는 장밋빛 전망이 고개를 들었다. 그러자 당 내부에선 ‘근자감(근거 없는 자신감)’이 독으로 작용할 것이란 우려가 쏟아졌다. 이 와중에 터진 ‘송영길 변수’는 여권 전체를 옥죄는 양상이다. 지방선거를 앞두고 암울한 그림자가 민주당 위에 드리워진 셈이다.
“송영길 차출론이 계파 갈등 프레임을 다시 불러냈다(민주당 한 당직자).”
대선 이후 ‘졌잘싸(졌지만 잘 싸웠다)’ 분위기를 이어가던 민주당 내부에서 집단행동이 본격화됐다. 발단은 86그룹(80년대 학번·60년대 생) 핵심 송영길 전 대표 서울시장 출마 선언이었다. 친문 직계의 부엉이 모임 후신 격인 ‘민주주의 4.0’은 송 전 대표를 행해 “명분도 가치도 없는 내로남불(내가 하면 로맨스 남이 하면 불륜)식 출마”라고 비판했다. 친문 집합체인 이들은 거듭 “사퇴 선언문의 잉크가 채 마르지 않았다” “오판이 당 전체를 오만으로 떨어뜨릴 것” “지방선거 참패로 이어질 것” 등의 발언으로 송 전 대표를 직격했다.
‘민주주의 4.0’ 입장문에는 이사장인 도종환 의원을 비롯해 강병원 김종민 신동근 이광재 최인호 한병도 홍영표 등 NY(이낙연)계와 가까운 친문·86그룹 의원 13명이 이름을 올렸다. 송 전 대표와 1980년대 전국대학생대표자협의회(전대협)에서 활동했던 우상호 의원은 “송 전 대표 출마로 ‘이낙연 카드’를 비롯한 여러 카드가 날아갔다”고 비판했다. 같은 당 김민석 의원도 “하산 신호를 내린 기수가 나 홀로 등산 선언을 했다”며 송 전 대표의 대국민 사과를 촉구했다. 당 안팎에선 “원내대표 경선에 뒤이어 계파 전쟁 제2라운드가 시작됐다”는 반응이 쏟아졌다.
‘송영길 돌출변수’ 전까지만 해도 민주당 내부엔 “한번 해볼 만하다”는 분위기가 강했다. 당 인사들은 ‘지방선거 승리’를 뒷받침하는 세 축으로 △범보수 진영에 합류한 정당 브레이커 3인방 △신·구 권력의 엇갈린 지지도 △백중세였던 대선 득표율을 꼽았다.
이 중 핵심 축은 ‘정당 브레이커’ 간 충돌에 따른 보수진영 자멸 시나리오다. 정가의 한 인사는 “이준석 국민의힘 대표나 안철수 국민의당 대표 모두 창당 전문가 아니냐. 통합 과정에서 내분이 일어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대표적 악연인 ‘이준석 안철수’ 대표에다가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 최측근인 김한길 전 의원까지 합치면 정당 브레이커 3인방이 형성된다는 것이다. 보수 양당과 거리를 둔 김 전 의원은 인수위 국민통합위원장을 맡고 있다. 정치권에선 ‘김한길 역할’로 보수 통합의 막후 조정자를 꼽는다.
과거에도 이준석 안철수 대표는 보수 통합의 분당·창당 중심에 섰다. ‘박근혜 키즈’로 2011년 새누리당 비상대책위원회에 합류한 이 대표는 탄핵 사태를 거치면서 2017년 대선 직전, 비박(비박근혜)계와 함께 바른정당을 창당했다. 하지만 대선 후보로 나선 유승민 전 의원(6.8%)이 4위에 그치자, 바른정당은 극심한 혼란에 빠졌다. 당내 통합파 9명은 선도 탈당한 뒤 자유한국당으로 귀환했다.
이준석 대표를 비롯한 잔류파가 택한 것은 국민의당과 합당. 이 과정에서 양측 갈등은 극에 달했다. 바른미래당 간판을 바꿔 나섰던 지방선거와 국회의원 재보궐 선거에서 참패하자 이 대표를 비롯한 옛 새누리당파는 2020년 총선 직전 보수 대통합에 합류했다. 이 대표도 지난 10년간 ‘새누리당→바른정당→바른미래당→미래통합당→국민의힘’으로 당적을 변경한 셈이다.
2011년 10·26 서울시장 보궐선거를 앞두고 혜성처럼 등장했던 안 대표도 지난 10여 년간 두 차례 탈당(2015년 12월 새정치민주연합, 2020년 1월 바른미래당)과 네 차례(2014년 3월 새정치민주연합, 2016년 2월 국민의당, 2018년 2월 바른미래당, 2020년 2월 국민의당) 창당을 했다.
안 대표는 그간 ‘무소속→새정치민주연합→국민의당→바른미래당→국민의당’으로 당적을 변경하는 과정에서 ‘철수 정치’를 반복했다. 안 대표와 새정치민주연합을 창당했던 김한길 전 의원은 원조 정당 브레이커로 불린다. 현 여권 인사들이 3인방을 주목하며 ‘보수 자멸 시나리오’를 거론하는 것도 이와 무관치 않다.
실제 이준석 안철수 대표는 한배를 타기도 전에 으르렁거리기 시작했다. 앞서 안철수 국무총리론을 띄웠던 이 대표는 3월 30일 당 복귀를 택한 안 대표를 향해 “어떤 당인지 궁금하다”고 견제구를 날렸다. 이후 이 대표는 안 대표 측에 “6·1 지방선거에서 선거대책위원장직을 맡아 달라”고 요청한 것으로 전해졌다.
그는 4월 5일엔 CBS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에 출연해 안 대표와 차기 당권 경쟁 질문을 받고 “C나 D가 도전하면 그분을 막기 위해 뭐라도 해야 한다”고 했다. ‘C나 D가 누구냐’라는 추가 질문엔 “안 알려준다”고 했지만, 정치권 안팎에선 “안 대표를 지칭한 것”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이에 안 대표는 이 대표의 선대위원장 제안에 대해 “할 생각이 없다”고 일축했다.
다만 이준석 안철수 대표 기 싸움이 합당 무산으로 이어질 정도는 아니라고 양당 관계자들은 전했다. 국민의힘과 국민의당은 3월 말 합당을 위한 실무 협상단을 구성한 상태다. 국민의힘에선 홍철호 전략기획부총장, 김철근 당 대표실 정무실장, 노용호 당 총무국장이, 국민의당에선 최연숙 사무총장과 유주상 사무부총장, 노진웅 조직국장이 각각 나섰다. 이준석 안철수 대표도 “시기가 문제이지, 결국 합치게 될 것”이라고 했다. 민주당에서 기대하는 보수 자멸 시나리오가 현실화되진 않을 것이란 게 양당의 입장이다.
민주당은 신구 권력의 엇갈린 지지도에도 기대를 걸었다. 3·9 대선 직후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의 국정수행 전망치는 과반을 밑돌았다. 긍정 전망보다는 부정 전망이 많았다. 문재인 대통령 지지도를 하회하는 결과도 있었다. 하지만 3월 말 들어선 일부 여론조사에선 희비가 다시 엇갈렸다.
리얼미터가 4월 4일 공개한 여론조사(미디어헤럴드가 의뢰해 3월 28일∼4월 1일 조사, 중앙여론조사심의위원회 참조)에 따르면 윤 당선인의 국정수행 긍정 전망치는 전주 대비 2.8%포인트(p) 오른 48.8%였다. 부정 전망치는 2.0%p 하락한 47.6%였다. 같은 기간 문 대통령 지지도는 44.8%, 부정 평가는 52.0%로 조사됐다. 문 대통령 지지도가 1.9%p 하락한 사이, 부정 평가는 1.3%p 상승했다. 다만 ‘뜨는 해’인 윤 당선인의 기대치는 여전히 낮고 ‘지는 해’인 문 대통령의 지지도는 높다.
백중세였던 대선 득표율도 민주당 내부에서 승리 시나리오가 피어오른 계기로 작용했다. 0.73%p 격차였던 대선에서 이재명 민주당 상임고문이 앞섰던 지역은 경기(50.9%·이하 득표율)를 비롯해 인천(48.9%) 세종(51.9%) 광주(84.85) 전북(83.0%) 전남(86.1%) 제주(52.6%) 등 17개 시·도 중 6개였다. 4년 전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때처럼 원사이드 게임은 어렵겠지만, ‘완패는 없을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 이유도 이 때문이다. 문재인 정부 출범 2년 차 때 치른 당시 선거에서 민주당은 대구·경북(TK) 두 곳을 뺀 15개 시·도에서 압승을 거뒀다.
그러나 ‘송영길 서울시장 출마’를 둘러싼 계파 갈등이 모든 것을 흔들었다. 민주당 내부에서조차 “저쪽(국민의힘)은 지지도가 오를 일만 남은 게 아니냐”며 ‘지방선거 패배론’을 거론하기 시작했다. 새 정부 출범에 따른 컨벤션효과(정치 이벤트 이후 지지도가 상승하는 현상)를 무시할 수 없다는 말도 적지 않다. 전략통인 우상호 민주당 의원은 4월 4일 TBS 라디오 ‘김어준의 뉴스쇼’에 출연, “해볼 도리도 없는 정도로 한쪽으로 쏠린 분위기는 아니지만, 대통령이 새로 취임하면 (지지도가) 한 10%p 올라갈 것”이라고 했다.
민주당의 진짜 문제는 국면전환 카드 부재다. 송영길 악재는 연일 확산일로다. 특히 송영길 내홍 와중에 친문 핵심이자, 86그룹인 최재성 전 의원이 4월 6일 전격적인 정계 은퇴를 선언, 여권 내 계파 갈등에 불을 지폈다. 86그룹 정계 은퇴는 김영춘 전 의원에 이어 두 번째다. 여권 안팎에선 ‘최재성 정계 은퇴’에 대해 “송영길 고립 작전을 연상케 한다”고 했다. 한 당직자는 “대선 패배 이후 봉합은커녕 갈등만 커지는 양상”이라고 있다"고 말했다.
심상정 정의당 의원은 최근 박원석 김종대 전 의원에게 경기도지사 선거에 출마해 달라고 요청했다. 인천시장에는 이정미 전 의원이 사실상 단수 후보로 나섰다. 이재명 고문(47.8%)과 심상정 정의당 의원(2.4%) 대선 득표율 합은 50.2%로 윤 당선인(48.6%)보다 1.6%p 높다. 여권 관계자들은 “진보진영 전체가 공멸할 수 있다”고 입을 모았다.
윤지상 언론인
-
[단독] HID 지휘 체계 무력화…정보사 비상계엄 사전준비 정황들
온라인 기사 ( 2024.12.13 17:05 )
-
[단독] '비선' 방증? 윤석열 대통령 12·3 계엄선포 담화문 '서류봉투' 미스터리
온라인 기사 ( 2024.12.13 15:21 )
-
김건희가 직접 증인으로…‘코바나’ 사무실 입주사 대표 가족-최은순 소송 판결문 입수
온라인 기사 ( 2024.12.12 16:3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