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나무·빗썸뿐 아니라 핀테크들도 복리후생비 크게 늘려…“우수 인재 확보 차원” 설명
가상자산 거래소 업비트를 운영하는 두나무의 상반기 매출은 7850억 원으로 1년 전(2조 291억 원)보다 61.3%, 영업이익은 5661억 원으로 전년 동기(1조 8709억 원)보다 69.7%가 각각 줄었다. 2분기(4∼6월)에는 340억 원의 적자를 기록했다. 2위 가상자산 거래소인 빗썸을 운영하는 빗썸코리아도 상반기 매출은 2050억 원에 그쳐 지난해 같은 기간(6090억 원)의 3분의 1토막으로 쪼그라들었다. 영업이익은 5320억 원에서 1230억 원으로 4분의 1토막이 났다. 빗썸 역시 2분기는 아예 적자다.
두 회사 모두 매출은 줄었는데 씀씀이는 더 커졌다. 두나무의 상반기 영업비용은 2190억 원으로 전년동기 1582억 원 보다 38%나 많다. 급여 지출은 347억 원으로 소폭 줄었는데 복리후생비가 전년 12억 7300만 원에서 721억 7500만 원으로 폭증했다. 직원 1인당 1억 4000만 원꼴이다. 급여(1인당 5363만 원)와 복지비를 합하면 직원 1인당 2억 원을 지급한 셈이다.
빗썸코리아 역시 상반기 영업비용이 818억 원으로 전년 동기(765억 원)보다 늘었다. 직원수 증가에 따른 급여지출이 늘어난 것 외에도 주식보상비용으로 132억 원을 반영하면서다. 빗썸코리아는 지난해에도 급여(426억 원)보다 더 많은 587억 원을 복리후생비로 썼다.
이와 관련, 두나무 측은 “적극적인 직원 채용으로 직원수가 증가했고, 연초 임직원 대출제도로 인한 사내근로복지기금 출현으로 복리후생비가 증가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직원들 '복지 잔치'에 열심인 곳은 가상자산 거래소뿐 아니다. 다른 핀테크 기업들도 마찬가지다. 올 상반기 적자로 전환한 카카오페이는 복리후생비로는 106억 원을 썼다. 지난해 같은 기간(47억 원)의 2배가 넘는다. 지난해 6월말 849명이던 직원수가 올 상반기 1001명으로 18% 늘었지만 급여지출은 331억 원에서 475억 원으로 43.5% 늘었다.
올 상반기 영업이익이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21% 늘어난 카카오뱅크 역시 복리후생비는 130% 늘어난 204억 원을 썼다. 토스를 운영하는 비바리퍼블리카도 상반기 복리후생비로만 117억 원을 지출했다. 지난해 같은 기간에는 62억 원 수준이었다.
반면 KT그룹 계열인 케이뱅크는 올 상반기 영업적자가 줄었지만 복리후생비는 지난해보다 7.8% 늘어난 29억 원을 지출하는 데 그쳤다. 직원 1인 당 636만 원꼴이다.
최열희 언론인
-
특혜 채용 있었나? 김용현 전 장관 이수페타시스 근무 이력 주목
온라인 기사 ( 2024.12.11 14:12 )
-
매각대금으로 활로 찾을까…금호건설의 아시아나항공 처분 시점 주목 까닭
온라인 기사 ( 2024.12.10 16:18 )
-
비상계엄 불똥, 부동산에도 옮겨붙나…장기 침체 전망에 무게 실리는 까닭
온라인 기사 ( 2024.12.06 16:5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