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 중구 태평로의 오양수산 본사 건물. 지난 2003년 사위들에게 소유권이 이전됐다. 임준선 기자 kjlim@ilyo.co.kr | ||
김 부회장 측은 ‘경영권과 재산을 노리는 사위의 꾐에 어머니가 넘어갔다’며 지분 이전 외에도 고 김 회장 명의 부동산들이 고스란히 사위들에게 넘어간 것을 예로 들고 있다. 실제로 서울 태평로1가 76번지 일대 오양수산 본사 건물과 그 주변의 고 김 회장 명의 부동산들은 지난 2003년 사위들에게 명의 이전됐으며 장자인 김 부회장 몫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일대 고 김 회장 명의로 돼 있던 토지 평수만 해도 총 800여 평에 이른다.
이 부동산들의 재산 가치는 얼마나 될까. 태평로에 소재한 대지 면적 70평에 연건평 70평짜리 건물이 최근 매물로 나와 있는데 매매가가 60억 원으로 산정돼 있다. 고 김 회장 명의로 있던 800평 토지 위에 있는 건물들과 입지 조건을 감안하면 어림잡아도 수백억 원대의 부동산이 장자인 김 부회장 손을 거치지 않고 사위들에게만 증여된 셈이다. 현재 해당 토지 등기부등본엔 김 회장의 사위들과 딸들 그리고 외손자 손녀들의 이름까지 올라와 있다. 등기부에 기재된 외손자 손녀들은 대부분 만 20세 이하다.
그 까닭이야 당사자들만이 알겠지만 일단 경제적 원조 차원으로 볼 수는 없을 것 같다. 사위들의 현재 주소지는 한남동과 서초동의 70~80평형 이상의 고급아파트이며 모두 자신들 명의로 돼 있다. 20억 원이 훌쩍 넘어가는 호화주택을 이미 보유하고 있고, 검사장 변호사 병원장 사업가 등 그 직함으로도 김 부회장에 크게 밀리지 않는 인사들이다. 부자 장인의 원조에 무조건 목 맬 까닭은 없는 셈이다.
그렇다면 김명환 부회장에겐 전혀 반격 카드가 없는 것일까. 현재 김 부회장은 종로구 가회동 170번지 일대에 250평 대지면적의 2층 주택을 갖고 있다. 최근 가회동 일대 180평 대지 면적 단독주택이 27억 원에 매물로 나온 것을 보면 김 부회장 자택 가치를 어림잡아 30억 원 이상으로 볼 수 있을 것이다. 김 부회장은 부산 동대신동 13번지 소재 대지 108평 규모 주택도 갖고 있는데 최근 이 일대 대지 100평 규모 주택이 6억 5000만 원에 매물로 나온 것을 감안해 김 부회장 명의 주택 가치를 이와 비슷하게 산정해볼 수도 있을 것이다. 이렇듯 김 부회장은 대규모 저택을 두 채 보유하고는 있지만 이런 주거용 부동산들이 나머지 유족들에 대항할 실탄이 되기엔 역부족일 것이다.
김 부회장 명의는 아니더라도 오양수산 명의로 된 공장부지를 김 부회장이 어떻게 활용할 것인가를 눈여겨볼 필요가 있다. 서울 정동에 있는 오양수산 사무실과 부산 남부민동과 경기도 안성 신건지동에 소재한 오양수산 공장부지는 오양수산 명의로 돼 있다. 그런데 등기부등본에 따르면 145억 원의 근저당권이 이들 부동산을 공동담보로 삼아 설정돼 있으며 근저당권자는 김 부회장으로 돼 있다. 이는 김 부회장이 공장 부지를 담보로 오양수산에 145억 원을 빌려준 것이나 마찬가지의 효력을 지닌다. 이 근저당권 설정은 지난 2005년 7월에 이뤄졌다. 정확한 내막은 알 수 없지만 김 부회장이 오양수산 본사 부동산을 어머니와 다른 가족에게 선점(?)당한 뒤 다른 오양수산 공장부지를 어머니와 여동생-사위 부부들이 마음대로 처분할 수 없도록 근저당권을 설정해 놓았을 가능성이 있다. 일종의 안전장치인 셈이다. 해당 부동산들의 등기부등본엔 금융권의 근저당권 설정도 있지만 김 부회장 개인 명의 근저당권 액수가 더 크다. 지난 2003년 고 김 회장 명의 부동산의 사위 가족들에 대한 증여와 김 회장 사후 벌어진 지분 이전으로도 모자라 김 부회장이 자물쇠로 걸어 잠근 오양수산 공장부지에 대한 소유권 분쟁이 벌어질 가능성이 열려있는 셈이다. 오양수산 지분을 인수한 사조 측이 김 부회장이 근저당권을 설정해놓은 공장 부지에 대해 어떤 대응책을 들고 나올지에도 관심이 쏠린다.
천우진 기자 wjcun@ilyo.co.kr